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학교생활적응 -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Juvenile’s Inter-Relationship and Adapting School Life :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김희진, 최장원, 이지현, Atterraya, Madhu Sudha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juvenile interpersonal relations by the factors which affect juvenile school adapting matter. Then, it tri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juveni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chool adapting issue by dividing into 3 groups of their relationship pattern. 3 groups consist of their relationship with peers, teachers and parents. In addition to, it tri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self-esteem level on adapting to school life. This is an attempt to compare what types of relative effects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teachers have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to look for methods that can resolve school life adaptation issues arising from such relationship.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self-esteem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adaptation of youths. So, self-esteem was inserted as a moderator variable. This study was done based on the survey “research of juvenile friendship and school life”, which wa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08. The data of this research is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zed the best answered 2,176 data among them. Essential outcome of the study is as follow. First, primary average of juvenile inter-relationship with peer group is 3.12 point, 2.96 with parents, and 2.22 with teachers. Second, it reveals that each of the relationship levels (peers, teachers and parents) gets rises, the level of adapting school life also gets rises. Third, juvenile self-esteem has meaningfully influenced on raising level of school adaptation. Statis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level of relationship with peers, parents and level of adapting school live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level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level of adapting school life proved that the level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ve positive effects on level of adapting to school life.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suggestions for intervening in school adapting issue based on the results. First, to improve juvenile adapting to school life, it has to be preceded improving juvenile inter-relationship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peers, teachers and parents. In case of youths who seem to have problems on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level of relationships among 3 types of relationship be examined first. Then, we have to find relationships that youths are comparatively vulnerable. In particular, for youths who are vulnerable in all 3 types of relationship, systematic analysis and evaluations, comprehensive counselling and interventions are essential for improving the level of relationships for youths. Second, to improve adapting to school life for juvenile, it is requested to proceed simultaneously, the intervention which is raising juvenile’s self-esteem improving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other words, for youths who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school life adaptation due to a low level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first. In addition,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o improve self-esteem so that youths can make positive evaluations of one's personality, ability and valu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and solution-focused therapies for increasing self-esteem is being reported, and there is a need to conduct appropriate programs and verify such programs' effectiveness. In addition, focused case managements for youths who are shown to have problems through investigations on self-esteem and 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conducted. Among such students, treatment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those who have school life maladjustment,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those students who have yet to show maladjustment but have such elements within.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that are required in a future. First, effects on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detailed sub-properties of relationships with peers, teachers and parents that affect school life adaptation should be grasped. Next, studies should be taken place to grasp the cause of moderating effect that was shown betwee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school adaptation life, which was not shown in relationships with peers or parents.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즉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그리고 부모와의 관계가 청 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어느 정도의 상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대인관계가 학교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청소년 자존감의 수준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는 부모, 친구, 교사와의 관계가 각각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상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하고, 이러 한 관계의 문제에서 비롯된 학교생활적응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찾기 위한 시도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존감은 청소년의 적응을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변수로서, 자존감에 대한 개입은 청소년 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개입의 폭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가지고 청소년 자존 감을 조절변수로 투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8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들의 친구관계 및 학교생활에 관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 였다. 자가 보고식 설문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본 자료 중 불충실한 응답을 제외한 2,176 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대인관계정도 평균을 비교해 볼 때 또래관계의 정도가 3.1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부모와의 관계 2.96, 교사와의 관계가 2.22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모두에서 관계의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존감이 높아질수록 학교생활적 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또래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 계정도에서는 자존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유일하게 교사와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정적 조 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학 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즉,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 계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생활적응에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의 경우, 3가지 관계영역의 관계정도가 어떠한지를 우선 살펴보아야 할 것이며, 청소년 상대적으로 취약한 관계 영역을 발견하여 그 영역에 보다 주력한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3가지 관계 영역에서 모두 취약한 청소년에게는 관계정도의 향상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및 평가와 포괄적인 상담 및 개입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둘째, 교사와의 관계로 인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문제가 있는 청소년의 경우 교사 와의 관계개선을 위한 노력과 함께 자존감 향상을 위한 개입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교사와의 관계정도가 낮아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에게는 교사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개입 외에도 자신의 성격, 능력, 가치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자존감 향상을 위한 개입이 함께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자존감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치료나 해결중심치료 등의 효과성이 보고되고 있는바, 적절한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실시하고 그러한 프로그램의 효과성도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청소년들의 자존감과 대인관계에 관한 조사를 통해 문제가 발견되는 청소년에 대해 지속적이고 집중적 인 사례관리를 실시함으로써 그 중 학교생활 부적응이 나타난 학생들에게는 치료적 개입을, 아직 부적응 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러한 요소가 내재해 있는 학생들에게는 예방적 차원의 개입을 해야 할 것이다. 향후 필요한 후속연구들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와 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영역의 세부 하위 관계적인 속성들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 는 영향을 상세하게 파악하여 관계의 개선을 위한 개입시에 관계의 어떠한 측면들에 주력한 상담 또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또래와의 관계나 부모와 의 관계에서와는 달리 교사와의 관계와 학교생활적응에서만 조절효과를 보인 것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 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학교생활적응
  2.2 학교생활적응 영향요인
  2.3 청소년의 대인관계
 Ⅲ. 연구방법
  3.1 조사방법
  3.2 변수 및 측정도구
  3.3 분석방법
  3.4 연구모형
 Ⅳ. 연구결과
  4.1 조사대상자 특성
  4.2 청소년의 대인관계 및 자존감 실태
  4.3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학교생활적응
  4.4 청소년의 대인관계정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진 Kim, Hee Ji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
  • 최장원 Choi, Jang Won. 덕인복지재단 대표이사
  • 이지현 Lee, Jee Hyun. 연세세브란스병원 의료사회복지사
  • Atterraya, Madhu Sudha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