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明治初期」日本のアジア外交について - 明治維新前後から台湾出兵まで -

원문정보

A Study of Japanese Diplomacy with Asia in the Early Meiji Period - From the period of the Meiji Restoration until the Taiwan Expedition of 1874 -

金光男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Japanese leaders’ efforts for “independence” were linked with the Japanese “expansion” in Asia by focusing on their foreign understanding and their policies toward Asia. Those leaders did make plans and lead the formation of the modern Japanese nation state in the early Meiji era. This study clarifies the linkage in the analysis of diplomatic archives, diaries, opinion papers, and letters of the leaders written around the time of the Meiji Restoration up until 1874. First, the foreign recognition of Shoin Yoshida is discussed. He seems to have had profound influence on the thought of the Japanese leaders in their youth in the late Tokugawa period. Next, the foreign recognition of the new Meiji government’s leaders, mainly Tomomi Iwakura and Takayoshi Kido, is summarized in the continuity of former times. Then, the following chapter discusses Iwakura Mission’s attempts for revising the unequal treaty between Japan and Western powers, as well as some of their experiences in Western nations. After the mission returned to Tokyo, some members including Iwakura, Ookubo, and Kido set about proceeding preparations for the conquest of Korea. Their plan for Korea is examined with consideration to how their experience in Western nations affected it. In the final chapter, problems in Taiwan invasion are investigated in detail through Ookubo's diary. He was a prime leader, as well as a chief representative in the negotiations on Taiwan affairs with the Chinese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studying each fact, it will be clear that how Japanese diplomacy toward China have connected with the strategy for Korea and the Sakhalin issue accompanied by Russian pressure. At the same time, it will be acknowledged that Japan's diplomacy with Asia has been influenced in some degree by British and US interests at that time.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메이지 초기의 왕정 복고와 그 이후의 근대 국민국가의 형성을 디자인하 고 지도한 유사관료(有司官僚)의 대외 인식과 대아시아 정책에 초점을 맞추어서 일본의「독립」확보에 대 한 노력이 어떻게 해서 일본의「팽창」으로 연장되었는가 하는 문제와 그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에도막부(江戶幕府) 말기에 체결한 구미제국과의 불평등 조약에서 일본을 해방시키고「독립」을 획득해가 는 노력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성과 자형(姿形)을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서 당시의 유사관료의 일기, 의 견서, 공문서, 편지 등의 역사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것이 정한론(征韓論)을 전형으로 한 대아시아 정책과 근대초기의 군대파견을 실시한「대만출병」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자세히 살펴보았다. 제 2장에서는 에도막부 말기에서 메이지초기에 걸쳐서 폭넓게 사상적인 영향을 끼친 인물 중의 한 사람 인 요시다쇼인(吉田松陰)의 대외 인식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제 3장에서는 에도막부 말기부터의 연속 면에 있어서의 메이지 신정부의 대외 인식에 대해서 이와쿠라토모미(岩倉具視)와 기도 다카요시(木戸孝允)를 중 심으로 살핀다. 제 4장에서는 이와쿠라견미구 사절단(岩倉遣美歐使節團)에 의한 조약 개정의 시도와 구미제 국의 시찰과 경험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사절단의 귀국 직후부터 진행되는 이와쿠라(岩倉), 오쿠보(大久保), 기도(木戸) 등 양행파(洋行派)의 정한론에 구미에서의 경험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고찰한다. 제 5장은 본 논문의 중심적인 부분이다. 여기서는 대만 출병과 그 이후의 청나라와의 교섭 경위에 대해서 오 오쿠보도시미치(大久保利通)의 일기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살펴본다. 그「사실 경과」을 고찰하면 서 대만문제, 한국과의 통상개항 문제, 러시아와의 국경 확정에 수반하는 가라후토(樺太) 문제가 어떻게 일 본정부의 외교에 관계되고 있었는지를 밝힌다. 이를 통해서 일본 외교가 영국, 미국의 이해 관계에 큰 영향 을 받았다는 것을 입증한다. 마지막으로 제 6장은 결론 부분으로 메이지 초기에 있어서의 유사관료(有司官 僚) 정부는 일본외교가 일정 정도 열강(영·미)에 종속되면서 열강(영·미·러·불 등)으로부터의 압력을 근린 아 시아 지역에 전가시킴(팽창)으로써「독립」을 확보해 가려는 전략을 취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또한 아시아 에 대한「팽창」이 에도막부 말기부터 사족유사(士族有司)의 대아시아관, 특히 한국관(조선관)이 사상적 토양 이 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はじめに
 Ⅱ.幕末の対外認識
 Ⅲ.初期明治政府の対外認識
 Ⅳ.条約改正とアジア外交
  4.1 岩倉使節団
  4.2 洋行派の征韓論
 Ⅴ.台湾出兵問題
  5.1 英米の局外中立
  5.2 撤兵交渉と英国公使
 Ⅵ.おわりに
 参考文献(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金光男 김광남. 国立大学法人茨城大学 人文学部教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