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동부유럽에서의 두 가지 체제전환(體制轉換)

원문정보

The Two Transition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박영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ncreasing gap between the formerly socialist countries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CE and EE) with regard to both their economic and political performance cannot be explained by their different starting conditions after the breakdown of the Soviet Union alone. Rather, it is due to cultur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that shape the particular tradition and societal environment. Indeed,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has led to a growing awareness of the role of informal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change in institutional and evolutionary economics. Although a lot of work has been done on this problem, we still do not have a satisfying explanation of the role that informal constraints of human behavior play in institutional change. When institutional and evolutionary economics the idea of historical and cultural dependency is applied to the problem of CE and EE transition, it is often overlooked that the European nations did never only develop according to the tracks determined by a cultural heritage. This is not to say, however, that the idea of historical and cultural path dependency has to be rejected. For whenever formal institutions are taken over from abroad, in the course of their implementation they mingle with the soil of the prevailing informal constraints of human behavior and thought, which are determined by the legacies of the past. This phenomenon can be described as a transplantation of institutions. The decisive issue then is, how the informal institutional settiings in the different countries interacted with the imported formal settings. The often made assumption that informal institutions react inertly to changes in the formal institutional settings must be modified. If seen as a tranplantation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e reaction rate of informal institutions depends on their compatibility with imported formal institutions. Central thesis of this treatise is that the ‘reaction rate’ of informal institutions depends on their compatibility with imported formal institutions. The transition process in CE and EE can tell us much about the relation between path dependence and politically implemented institutional change. During the 20th century the countries of CE and EE twice went through rapid institutional change. For centuries they had acculturated to Western Europe, but as a result of the October Revolution Eastern patterns were imposed upon them. Since the german unification at October 3, 1990 and the breakdown of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1990 they have returned to Europe, by establishing democracy and capitalism. In our opinion,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ransition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both transitions as processes of institutional transplantation and ask how the informal institutional settings in the different countries interacted with the imported formal institutions. The paper is organized in six sections. After the introduction, the second section will give an dverview of hoa institutional economists deal with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indicate how a cultural theory of economics could contribute to their solution. In section three we sill specify a theoretical approach that tries to explain the mutual relations between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This general theoretical framework is purely structural in the sense that it does not include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These factors are included into our analysis in section four, where we apply our framework to the transition process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section five we wiöö briefly outline some conclusions for economic policy-making. We will finish our paper with a short outlook on the polit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before us.

한국어

동부유럽의 구(舊)사회주의 국가들 사이에 최근 증대하고 있는 경제 및 정치적 성과와 관련 하여 나타나는 격차를 단지 구소련연방 붕괴 이후 형성되었던 이들 국가들 사이의 다른 출발조건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 오히려 이것은 개별적인 전통과 사회 환경을 만들어 낸 문화적 그리고 역사적 환경을 통해 살펴보아야 한다. 실제로 체제전환의 경험은 제도 및 진화경제학에서 제도적 변화과정 중에 비공식 제도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증대로 이어졌다. 이 문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인간행 동의 비공식적 제약(非公式的 制約, Informal constraints)이 제도적 변화에서 행하는 역할에 대한 설명 이 만족할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므로 문화적 접근방법의 채택과 제도 전환에 대한 새로운 문헌 연구를 통해 공식적 제도와 비공식적 제도 사이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 도 및 진화경제학에서 역사적 및 문화적 경로의존성(經路依存性, path dependence) 개념은 중동구 사회 주의 국가들의 체제전환에 응용될 때, 유럽국가들이 문화적 세습(Cultural heritage)에 의해 결정된 경로 를 따라서만 발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종종 무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역사적 그리고 문화 적 경로의존성에 대한 이론이 거부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공식적인 제도가 언제 외국으로 부터 들어오든, 그것의 실행과정에서 그것은 우세한 인간의 행동과 사고의 비공식적 제약의 토양과 섞이 게 된다. 그리고 그것은 과거의 유산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현상은 제도의 이식(移植. transplantation) 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런데 중요한 논점은 어떻게 서로 다른 나라의 비공식적인 제도장치가 수입 된 공식적 제도장치와 상호작용했는지 이다. 그러므로 비공식적인 제도가 공식적인 제도를 만드는 과정 에서 변화에 대한 반응이 자발적이지 않다는 일반적인 가정은 수정되어야만 한다. 즉, 비공식적인 제도 가 제도적 장치의 이식으로 여겨진다면, 비공식적 제도의 반응속도(reaction rate)는 수입된 공식적 제도와의 양립가능 성(兩立可能性, compatibility)에 달려있다. 본고의 주된 논점은 비공식적 제도의 반응속도 는 수입되어진 공식적 제도와의 양립가능성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중앙 및 동부유럽의 체제전환과정은 경로의존성과 정치적으로 이행되어지는 제도변화 사이의 관계에 대해 시사(示唆)하는 바가 크다. 20세 기 동안에 중앙 및 동부유럽국가(중앙 및 동부지역의 구사회주의 국가)들은 두 차례의 급격한 제도변화 를 경험하게 된다. 수세기 동안 이들 국가들은 서부유럽의 문화를 받아들여 왔으나, 1917년 10월 혁명으 로 인해 동유럽의 문화패턴이 강요되어졌다. 1990년 10월 3일 독일의 통일 및 1990년대 초 구소련연방의 붕괴 이후, 이들 국가들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재건을 통해 유럽식 패턴으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동부유럽의 체제전환국 사이에서 나타나는 성과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중앙 및 동부유럽의 체제전환을 제도적 이식(transplantation)의 과정으로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중동부유럽 사 회주의 국가들의 체제전환과 제도변화의 특징과 정책적 함의, 그리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여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 이후 두 번째 장에서는 제도경제학을 연구하는 이들이 이미 언급한 문제들을 어떻게 다루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하고, 또한 어떻게 문화적 경제이론이 그 해법 에 공헌할 수 있는가를 제시할 것이다. 세 번째 장에서는 공식적인 제도와 비공식적인 제도 간의 상호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이론적 접근방식을 상술할 것이다. 이 일반적인 이론적 틀은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요소들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구조적 성격을 갖고 있다. 네 번째 장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틀을 중앙 및 동부 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전환과정(Transformation process)에 적용할 것이다. 다섯 번 째 장에서는 전술한 분석을 토대로 경제적 정책수립에 대한 몇 가지 결론들에 대해 약술할 것이다. 끝으 로 여섯 번째 장에서는 정치적이고 이론적인 문제들에 대한 간단한 전망으로 논문을 마무리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체제전환 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로서의 문화적 경제이론
 Ⅲ. 전체주의적이며 확장된 질서(Holistic and extended orders)
 Ⅳ. 전체주의적 질서와 확장된 질서사이에 있는 중동구 체제전환국가들
 Ⅴ. 중동부 유럽에서의 두 가지 체제전환과 제도의 이전
 Ⅵ. 경제적 정책수립을 위한 함의(含意)
 Ⅶ. 전망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박영수 Yeong-Soo Park. 동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