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변동과 젠더 : 한국과 발칸의 사례

원문정보

Culture Change and Gender : The Case Study of Korea and the Balkans

김진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cusing on gender relationship, this thesis deals with the nature of power that affects everyda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have been two kinds of approaches to the subject ; the materialisti c and the idealistic perspective. The former emphasizes the materialistic production process and rega rds sexual oppression as a by-product of class relation determined by the mode of production. The latter analyzes the value and norm, in order to explain the existence of patriarchal ideology permeati ng into the individual consciousness. However these approaches tend to be either too subjective or t oo objective, and thus view the subject and the object a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resent study, in this regard, adopts the post-structural method developed by Foucault, whic h tries to unite such dichotomy in the flow of language and knowledge. The bas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the case study of Korea, and the Balkans. The ideology of male superiority is widely practised in Korea, and the Balkans. In Korea and the Balkans, various kind of statements regarding gender are found. A certain regul arity is found in these statements. Various elements form a system of formality which generates va rious behaviours related to the sexual oppression and the formation of the patiarchal discourse. The ideology of male superiority works to oppress women throughout their lives, even sometimes to depriving them of their lives. Both men and women take it for granted and regard it as unquesti onable. This reveals a typical way by which the individual is indoctrinated into the control of disco urse and the function of power. Some western feminist scholars regard economic contribution and social coherence as the most im portant factors to enhance the status of females. Although the case of Korea and the Balkans conce rned here has these two factors, women are still inferior to men. The final decision making and the representative role are occupied by the male members only, and women are totally subordinate to m en, acting as mere assistants. Any kind of public group is exclusively formed by men and the femal e-inferiority is accepted as natural by both men and women .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woman is a matter-of-course, a part of her devotion to her husband and family, and neither man nor woman has the slightest idea that social status can be achieved by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the women in the family. And the exclusive right over the family prop erties is still held by the male head of the family. Such patriarchal power is a part of dominant pow er and we have seen that it is related to the power in daily lives through regulation of knowledge. The women also have their social organizations based on close personal relationships but they do not have any influence on public matters. This is due to the socio-structural factor of the village, w hich is characterized by the principles of the patrilocal residence and patrilineal descent, male posses sion of production means, and the interrelation of the political power exclusively possessed by men and the symbolic system. In addition, these factors reinforce the effect of the patriarchal discourse. Thus considered, the female-inferiority found in Korea and the Balkans must be seen as a produc t not only of patriarchal ideology, but also the combination of the patriarchal discursive and non-dis cursive fields that affects the political and the economical process. For patriarchal ideology is accept ed differently by members of different social statuses, the discourse loses its influence if it comes fr om members who have not the materialistic basis for patriarchal power. But, in the case of 21c Korean villages, the chang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ideology is accelerated by the socio-cultural transformation. Agriculture, a traditional source of living influential until now, has been losing it's importance and as the village becomes more and more dependent up on urban sectors,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discourse becomes weakened in Korea. To sum up, the aim of the thesis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gender in order to reveal the fact that, without a self-criticizing reflection about the desire for power within the human mentality, a new form of union of power and discourse appears requiring new sacrifice, even if the existing s ystem of patriarchal oppression is renovated or extinguished.

한국어

본 논문은 개인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권력의 문제를 남녀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 추어 진행시켜 보았다. 이러한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은 유물론적 접근과 관념론적 접근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전자는 주로 물질적 생산과정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성적 억압을 생산양식에 의한 계급관계의 부 수적 현상이라고 보고 있고, 후자는 가치와 규범을 중심으로 하여 개인의 의식 속에 있는 가부장제 이데 올로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 관점은 각기 주관적 또는 객관적 관점 어느 한편에 치우치고 있어서 주체와 객체를 분리시키는 양 분법적 상황에 놓여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분법을 언어의 흐름, 지식의 흐름으로 통합시키는 푸코의 후기 구조주의적 방법을 원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한 자료는 한국과 발칸의 사례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과 발칸의 경우 가 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생활전반에 걸쳐 침윤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국과 발칸의 경우 性에 대한 다양 한 진술이 공존해 오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진술들도 상호간에 공존, 연결되어 체계를 형성하기도 하 고 또는 이러한 체계에 대한 대응적 형태를 띤 진술들도 있으며, 전체적으로 규칙성을 보이고 있다. 양 사회 모두 남성 우위의 관념은 여성을 비하할 뿐 아니라 가부장적 권력의 행사와 연합하여 그녀들의 생 명조차 박탈할 수 있는 영향력을 지닌 담론임을 알 수 있었다. 남녀 모두 이를 당연시하여 오히려 이에 대한 의문제기에 대해 의아해하고 있었다. 여기서 주체로서의 개인이 담론의 규제에 순응하는 전형적 모 습과 상식 속에 내포된 권력의 기능을 알 수 있었다. 주지하다시피, 유물론적 입장에 있는 서구의 여성학자들은 경제적 참여도 및 사회적 결합력을 여성지위 향상의 중요변수로 삼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조건이 전부 갖추어지더라도, 여성의 지위 가 여전히 하위에 처해 있음을 한국과 발칸의 사례를 통하여 규명하였다. 즉 집단에서 가사의 처리에 대 한 최종 결정권 및 대표권 행사는 남자들의 전담영역이며, 여성은 남성의 권위에 복종하여 보조역할이나 해준다. 공동체에서의 공적인 의사결정은 남성들이 주도할 뿐 아니라 여성들은 참여가 배제된 소수 집단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남녀 모두에 의해 여성은 비천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었다. 여성의 경제적 기여는 가정과 남편에게 헌신하는 당연한 일로서, 주부의 사회적 지위가 경제적 기여에 의해 성취된다는 것은 남․녀 모두에게 인식조차 되지 않았다. 이는 家産에 대한 독립적 지배권을 행사 해 온 전통시대 家長의 권한은 현재에도 지속되어, 재산소유권과 처분권이 여전히 남성에게 있었다. 이 러한 가장권은 지배적 권력의 한 양상임과 동시에, 지식의 통제를 통하여 일상적 권력과 연결되고 있음 을 본 논문의 내용에서 고찰한 바 있다. 또 지배적 權力의 산물인 가부장 담론은 통치이념과 물적 토대 가 상호 맞물린 가운데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긴밀한 유대를 바탕으로 한 여성의 사회적 조직도 公的문제의 결정사항에는 전혀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 했을 뿐 아니라, 공식적 모임에서는 남성 집단의 비위를 거스르지 않기 위해 조심해야 한다. 이것은 가 부장 담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부계혈통원칙과 父居制 거주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의 사회구조 적 요인 및 생산수단의 확보와 같은 경제적 요인과 남성에 의해 독점적으로 행사되는 정치적 권력과 상 징체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볼 때 한국과 발칸에서 보여지는 여성의 열등 한 위치는 가부장 담론과 담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경제적 과정 등 비담론적 영역의 접합에 의한 것으로서 가부장적 이념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봐서는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가부장적 이념에 대 해서도 구성원들의 사회적 위치 및 관점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수용되기도 하고, 家長權 행사의 한 요인 인 물적 토대를 상실한 사람들의 경우 이들에 의해 부과되는 담론이 효과를 잃고 있음을 볼 수 있기 때 문이다. 그런데 최근 급격한 문화변동을 겪고 있는 21C 한국의 경우 기존의 가부장적 이념에 대한 해석상의 변 화가 가속화되고 있고 이러한 사고방식의 변화는 기존의 담론과는 다른 형태의 저항적 진술과 연결되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진술은 새로운 형태의 권력과 연합되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결국 이 글은 인간 내부의 권력지향적 심성 및 욕망에 대한 자성적 성찰 없이는 기존의 가부장적 억압체 계가 계산된다 할지라도 또 다른 형태의 권력과 담론의 연합이 출현하게 되고 또 다른 희생자가 산출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담론의 한 가닥 실체를 한국, 발칸의 사례를 통하여 밝혀보고자 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2.1 전통여성과 젠더
  2.2 21세기 생애사를 통해본 문화변동과 젠더
 Ⅲ.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진명 Jin-Myung Kim.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