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Financial Regulatory Reform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Overseas Case and their Implication
초록
영어
Since the global crisis, discussions about renovation of financial regulatory system and restructuring of supervisory systems have gradually in place. However, while discussions on a comprehensive revision for overall financial regulatory system are vigorously unfolding in England, U.S.A. ,etc., the scope of discussions for revision in Korea has been limited to the re cent revision of the law of the Bank of Korea and improvements in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ed inspection between financial authorities. This is because Korea is relatively safe from the financial crisis and so the situation is not as serious as it is in England or U.S.A. Nevertheless, Korea already established a consolidated financial supervisory system ten years ago and thus its supervisory system, along with that of England, is one-step ahead of the system of U.S.A. as far a the supervisory system is concerned. Nonetheless, a fundamental establishment of supervisory system for each function is still lessthan satisfactory yet, and a role re-establishment of Financial Service Commission and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 role sharing of the Bank of Korea and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regarding financial stability also remain to be implemented. In the course of the recent financial cri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twin-peaks model which guarantees by policy the central bank’s supervisory function for macro-prudence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and coping with the system risk compared with the consolidated supervisory organization model. The fact that the central bank’s role of financial stability as a supervisor of macro-prudence is greatly emphasized compared with the pre-crisis period is observed in renovation plans of both England and U.S.A. In order to aggressively cope with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a financial crisis in the future, a more comprehensive discussion about revision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ystem is necessary by way of a clear and open discussion process as in England and U.S.A. Specifically, an open discussion for the selection of supervisory model and a ‘general agreement of terms’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macro-prudence supervision need to be signed in order to facilitate cooperation and check between the Bank of Korea and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 clear re-establishment of role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stitutes is also needed.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and inspection results of supervisory organizations for micro-prudence in the renovation plans for English and U.S. financial regulatory systems and the fact that the both countries are allowing the central banks’ roles and right for the maintenance of stability of payment system should also be discussed fully during the discussion on Korea’s financial regulatory system. To impro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a balanced harmony between efficiency and prudence of Korean financial industry, a well-balanced harmony between micro-prudence supervision and macro- prudence supervision is most important. Micro-prudence supervision not supported by macro-prudence supervision could hardly achive the effectiveness, and macro-prudence supervision not complemented by micro-prudence supervision is helpless as well. In this respect, the renovational plans for financial regulatory systems in England and U.S.A. have a great implication in that they maximize the advantages of the current consolidated supervisory organization and can strongly play a role as a true ‘system risk supervisory organization’.
한국어
글로벌 위기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금융규제시스템 개혁과 감독체계의 개편논의가 미약하게 나마 전개 되고 있다. 하지만, 영국과 미국 등에서 금융규제시스템체계 전반에 걸쳐 포괄적 개편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최근 한국은행법 개정과 금융당국 간의 정보공유ㆍ공동검사 개선으로 범위가 제한된 가운데 개편논의가 진행된 것에 불과하다. 이는 우리나라가 금융 위기의 진원지 에서 다소 비껴나 있어 위기의 심각성이 영국과 미국 등과는 차이가 있었던 점에도 부분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10년 전에 통일된 금융감독체계를 구축하여 영국과 더불어 감독체계 측면에서는 미국보다 앞선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진정한 기능별 감독체계의 구축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역할 재정립,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의 금융안 정관련 역할분담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최근 금융위기 과정에서 중앙은행의 거시건전성 감독기능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복수 감독기구모델 (Twin-Peaks model)이 통합감독기구모델에 비해 시스템리스크의 예방 및 대응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 로 나타나고 있다. 거시건전성 감독자로서 중앙은행의 금융안정 역할을 위기 이전에 비해 크게 강조하고 있는 점은 영국과 미국의 개혁안 모두에서 관찰되는 공통점이다. 향후의 위기재발 가능성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서도 영국ㆍ미국과 마찬가지로 보다 폭넓은 금융감독체계 개편논의를 투명한 공개협의과정을 거쳐 적극 전개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감독모형의 선택에 관한 개방적 논의가 필요하며, 거시건전성 감독의 도입과 관련하여 한국은행ㆍ감독당국 간 협력ㆍ견제를 위 한 ‘일반양해각서’체결과 함께 두기관간 역할 및 상호관계의 명확한재정립이 필요하다. 영국과 미국의 금융규제시스템 개혁안 중 미시건전성 감독기구의 정보 및 검사결과가 독적점ㆍ폐쇄적으로 관리되지 않 는다는 점과 양국 모두 지급결제제도의 안정성유지를 위한 중앙은행의 역할과 권한을 부여하고 있는 점 은 우리나라의 금융규제시스템 개혁논의에 있어서도 충분히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금융 산업의 효율성과 건전성의 균형적 조화를 통한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거시건전성 감독과 미 시건전성 감독간의 균형적 조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거시건전성 감독에 의해 지지 되지 않는 미시건전 성 감독은 그 실효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시건전성 감독으로 보완되지 않은 거시건전성 감독 역시 무력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영국과 미국의 금융규제시스템 개혁방안은 현행 통합감독기구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진정한 ‘시스템리스크 감독 기구’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라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목차
Ⅰ. 서론
Ⅱ. 해외 금융규제시스템 개혁의 변화방향
2.1 G20 정상회의1)의 논의 사항
2.2 미국의 금융규제시스템 개혁 동향
2.3 영국의 금융규제시스템 개혁 동향
2.4 영미의 금융규제개혁관련 법안에 대한 평가
Ⅲ. 한국의 금융규제시스템 개혁방안모색
Ⅳ.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