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flections on Human Salvation and Deification in Russian Orthodox Culture and Dostoevsky's Religiosity : Centering on The Brothers Karamazov

원문정보

러시아 정교 문화와 도스토예프스키의 종교성에서 인간 구원과 신성화에 대한 성찰 :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중심으로

이경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at refl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ussian Orthodoxy and Dostoevsky's religiosity from the biblical viewpoint. The viewpoint might be identified as a complicated evangelical perspective, acknowledging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on the one hand and admitting diversity and incompleteness of human apprehension on the other hand. From the biblical viewpoint, the Russian Orthodox culture is very idiosyncratic. The one reason may be the historic fact that it has been formulated under heterogeneous religions, philosophies, politics, ecosystem, historic vicissitudes, etc. The Russian Orthodoxy includes the universal Orthodox ideas of Jesus'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human salvation and deification and the national elements of its dual belief structure with pre-Christian slavic paganism, nationalism, messianism. Among them there are several ambiguous ideas which have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the Russian Orthodox culture: collective and general salvation, which are not in accordance with the biblical ideas of personal salva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choice; the idea of human deification. Comparatively in the Bible, human salvation by repentance and baptism is put in the word “justify,” and successive spiritual growth in the word “sanctify.” Humans are saved only by personal unit and granted the Holy Spirit. Afterwards, redeemed people should take the successive stage of being sanctified by the Holy Spirit and the Bible, unable to reach the completeness. On the other hand, Russian Orthodoxy does not provide with time order and mechanism between human salvation and deification. In the idea of deification the range and level of the Holy Spirit's intervention to humans are considerably restricted, while the inner intuition and ascetic self-abnegation are emphasized s main agents of deification.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this dogma is laid on Dionysius the Areopagite's apophaticism, which manifests that men could approach the Absolute nearer in negative way than in positive way. According to this negative theology, men can reach a unity with the divine by self-abnegation in this world, which accounts for the cult of many saints and icons. In the Eastern Orthodoxy the idea of Jesus Christ as Savior is ambiguously related to that of Jesus as the archetype of transfigur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gma of human salvation and deification is ambiguous. Additionally the Russian Orthodoxy emphasizes the joy of Jesus' Resurrection than His birth or suffering. And in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the Byzantine Orthodoxy, its original mystic tendency contributes to the formulation of a complicated dual belief system with pantheistic slavic paganism. The Russian Orthodox culture is in a dynamic interrelationship to Dostoevsky's religiosity. Dostoevsky tried to represent his new Orthodoxy-based religiosity aesthetically, integrating Russian Orthodoxy with his own modernized humanistic ideas and pantheistic Pochvennichestvo in the form of “minimal religion.” Dostoevksy's religiosity is more closely interrelated with the Orthodox Church than the biblical understanding in re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salvation and deification, and Jesus Christ's status and functions. In his new landscape, the dogma of salvation through Christ'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and the dogma of human deification, grafted with mystic “pochvennichestvo”(Return to the Soil) are overlapped, which is the case of the Russian Orthodoxy. In his idea of salvation is repeated the Orthodox ideas of the kenosis(self-abnegation) and the general and collective salvation. And the Orthodox orientation toward transformation through mystic immersion into the Divine and moral self-completion is more intensified. On the other hand he tried to integrate the Orthodox ideas of humility and self-abnegation, unconditional forgiveness, cosmic harmony with his subjective ideas of human freedom, practical love to neighbors, especially, people(narod) and human general responsibility for all others, and enhancement of spiritual community. In the figures of Zossima and Alesha Dostoevsky reflected his idea of spiritual community(sobornost'), trangressing conventionalized Orthodox institutions and rituals. Finally his ambiguous understanding of Jesus Christ, human salvation and deification, the complicated convergence and divergence with the biblical viewpoint, and his ambivalent bearings on the West remain unresolved to threaten his utopian project of searching for a new religious space in religious epic in the modern world. After his death, his anarchic efforts of creating a “minimal religion” imbued with mystic epiphany and practical love to neighbors were followed by Russian symbolists and religious philosophers' more mystic religiosity, with Sophia as the equal source of human deification with Jesus. That epochal project proceeded the human deification in more mystic and aesthetical way.

한국어

본고는 성서적인 관점에서 러시아 정교와 도스토예프스키의 종교성간의 상관관계를 정교의 핵심 교리들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는 것이다. 성서적 접근법은 성서의 절대성을 신뢰하면서 인간의 불완전성과 삶의 비결정성을 고려하여 인간의 인식 방식의 다양성과 불완전성을 인정하는 복합적인 복음 주의적 해석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다. 성서적 관점에서 러시아 정교 문화는 매우 이색적이다. 러시아 정교의 교리에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한 인간의 구원(salvation), 인간의 신성화(deification)라는 동방정교의 보편적인 일반의 교리와 러시아 이중신앙 구조, 민족주의, 메시아주의 등 특수한 이념들이 동시에 존재하며, 집단 단위의 구원론과 모든 인간이 구원받는다는 보편 구원 사상이 강하다. 더불어 예수 그리스도의 변용(transfiguration)을 원형으 로 하는 인간 신성화의 교리에 의해 성인과 이콘 숭배 문화가 발달되어 있다. 인간 구원의 교리와 신성화 의 교리 간의 선후관계, 메카니즘이 다소 모호하여, 인간의 유일한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와 인간 신성 화의 원형적 모델로서의 예수 그리스도가 체계적으로 연관되지 않으며, 성령에 대한 언급의 범위와 정 도가 제한적이다. 또한 러시아 정교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과 부활에서 그 수난과 고통보다는 부활의 승리와 기쁨을 강조한다. 비잔틴 정교의 신비주의적 경향은 러시아 정교에서 범신론적인 슬라브 다 신교와 결합하여 강화되며, 러시아 사회에서 두 종교체계는 복잡한 이중신앙 구조를 이룬다. 이와 비교하여 성서는 회개와 세례를 통한 구원의 시작과 이후 일생에 걸친 지속적인 영적 성장의 과 정을 각각 인간을 “정의롭게 하는 것”(justify)과 “거룩하게 하는 것”(sanctify)이라는 개념으로 선명히 구분한다. 또한 구원은 죄를 회개하고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 사람들에게만 개인 단위로 주어지며, 인간은 지상에서 성령과 신의 말씀을 통해 신성에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지만 완전한 도달은 불가능하 다고 주장한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최후의 역작으로서 “기독교 서사시”로 기획된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 나타난 작 가의 종교성을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인간의 구원, 인간의 신성화, 종교 의식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을 때, 그의 종교성은 러시아 정교 문화와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중첩과 분산의 관계에 있다고 판단된다. 이 소설에서 도스토예프스키는 이반의 “대심문관 이야기”, 조시마 장로의 설교, 알료샤의 신비로운 황 홀경의 체험 등을 통하여 러시아 정교와 자신의 근대적이고 휴머니즘적인 관점을 결합한 새로운 정교 세계를 미학적으로 창조한다. 그의 새로운 종교성에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한 인간의 구원, 부 정신학의 자기비움과 자기완성을 통한 인간의 신성화, 만인 구원 사상과 집단적 구원관 등 정교의 교리 들이 깊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동시에 정교의 형식주의보다는 영적인 공동체의식, 실천적인 이웃 사 랑, 만인에 대한 책임, 민중에 대한 사랑 등의 이념들이 새롭게 결합되어 있다. 그의 종교성은 무정부주 의, 윤리성, 대지주의, 신비주의의 경향을 띠며, 부활과 영혼의 불멸을 인간의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본 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종교성은 성서적인 관점에서 볼 때, 그리스도에 대한 시각, 인간의 구원과 신성화 의 이념에 존재하는 정교의 양가성과 내적 모순, 그리고 서구 근대 문화에 대한 양가적 태도를 미해결 된 문제로 안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Introduction
 Ⅱ. Russian Orthodox Dogmas on Human Salvation and Deification
  2.1 Russian Orthodox Understanding on the Jesus’ Resurrection and Human Salvation
  2.2 Russian Orthodox Understanding on Human Deification
  2.3 Ambiguities in Easter Rituals of Russian Orthodox Church
 Ⅲ. Reflections on Dostoevsky’s Religiosity in The Brothers Karamazov
  3.1 Dostoevsky's Ambiguous Ideas of Jesus : Human Salvation and Human Deification
  3.2 Dostoevsky's Alternatives to Jesus
  3.3 Dostoevsky’s “Minimal Religion”
 Ⅳ.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완 Kyong-Wan Lee.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