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xploratory Research for Achieving Variety of Academic Admission System in Korea : Focused on Academic Admission System
초록
영어
Until now, we have been experiencing for disputable and changeable Academic Admission System. The principle purpose of Academic Admission System is to select qualified person who can enter into the university. Major policies on the higher education include admissions officer system along with policy for th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universities, which has been promoted with great emphasis. As universities have defined students as excellent with higher score in nationwide examinations and better academic achievements at school for many year, there have been constantly questions raised in validity of the student selection process and crippled operation of high school education. This procedure is being nowadays over aspects, and furthermore it is affecting great influence to lower education facilities.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became a matter of interest to national wide. Until now, the matter of relating to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s for enticing bright students in the base of each university education's easiness. However, the conception of “bright student" was stucking in for choosing students who are best in academic grade. In the result, even though the admission system was committed to each university, most universities were stucking in the way of choosing by education grades. By this, at highschool, educating students for entering into the university was inevitable, and classes and evaluation were going beyond the base of education. To dissolve these problem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nounced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 after 2008 for introduction of admission system and the normal school education in the basis of acquiring university admission system's diversity. To apply this kind of improvement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dmission system for lowering the dependence on grades of each university's SAT, and this is being important issue. Now each part endeavors for the success of admission system after 2008. We have frequently been exposed to the idea of paradigm shift from selection competition to education competition concerning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This debate seeks to change the function of competition and selection which is exercised through the curren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to the function of preference and applic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thus bringing revolutionary change to the curren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So, this research is being focused on analysis of exploratory success factor with diversity of admission system.
한국어
그 동안 우리나라는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하여 많은 논란과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대학 입학전형제도의 기본적인 기능은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적격자를 선발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이 도 를 넘어 과열양상을 띄고 있고, 더 나아가 하급교육 기관에 상당한 영향까지 미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한 정책은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되었다. 지금까지 대학입학전형제도에 관 한 한 각 대학은 교육의 수월성을 근간으로 한 우수학생의 유치였다. 이러한 정략적 수월성에 근거한 선 발 방식은 대학 입학 자원의 다양성 확보와 다양화 시대에 걸 맞는 창의적이고 유능한 인재를 선발하기 에는 다소 문제가 많이 제기되어 왔다. 수월성에 근거한 “우수학생”이라는 개념이 학업성적 우수자라는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 결과 상당 부분 대학자율에 맡겨진 입학제도 아래에서도 대부분의 대학은 학업성적이 주류를 이루는 입학전형 방식의 틀에 묶여 있었다. 이로 인해 하급 교육기관인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는 입시위주의 교육이 불가피했고, 수업과 평가가 정상궤도에서 벗어나 파행적으로 이 루어지는 등 교육은 그 본질에서 벗어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러한 교육제도 하에서는 하위의 초ㆍ중 등 교육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쳐서 전반적인 교육시스템의 근간을 좌지우지되게 했으며, 그 결과 입시 를 위한 점수경쟁 교육으로 변질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입시시스템은 그 동안 교육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의 다양성 확보에 큰 걸림돌로 작용 했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입시 정책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는 대학입학전형제도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입학사정관제의 도입과 학교 교육 정상화를 위한 2008 학년도 이후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개선안을 발표하였다. 이와 같은 개선안의 적용을 위해서는 일선대학 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입학전형제도의 개발이 시급하고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고, 새로이 시작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각계의 노력이 집중되고 있 는 실정이다. 이러한 입학사정관 제도는 바로 대학입시의 큰 줄기라고 할 수 있는 대학의 자율성 확보와 공교육 정상화라는 상충되는 가치를 적절히 반영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들어선 새 정부는 「대입 3단계 자율화」 방안을 수립하여 공교육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대학의 자율적인 학생 선발권을 점진적으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대입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는 바로 이 두 가치를 적절히 조화시킬 수 있는 제도로서 대입 3단계 자율화의 안착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대학입시 정책이 단순한 계량적 판단에 따른 수월성 확보에서 정성적이고 특 성화가 고려된 다양성 확보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대학의 경쟁력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것은 입 시경쟁에서 단순한 “경쟁과 선택”이라는 입시제도에서 대학들이 벗어나야 한다. 이러한 제도의 변화는 대학뿐만 아니라 대학입시를 앞둔 학생과 학부모들도 만족할 것이다. 따라서 근본적인 입시제도의 변화 와 혁신 없이 성공적인 정책이 나올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성에 근거한 대학입학사정관 제도와 함께 대학입시제도의 다양성 확보에 대한 탐색적 성공요인 분석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내용 및 방법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2.1 우리나라 대학입학제도
2.2 국내의 선행연구
2.3 외국의 선행연구
2.4 정부의 입학사정관제의 추진현황
Ⅲ. 국내외 입학제도의 분석과 특성 비교
3.1 우리나라 대학입학전형제도
3.2 현행 제도에 대한 평가와 분석
3.3 외국의 대학입학제도 특성 분석
3.4 외국의 입학제도 비교 분석
Ⅳ.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따른 다양화 방안
4.1 대학의 학생 선발 자율권 확대
4.2 입학사정관제도의 도입
Ⅴ.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