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러시아에 진출하는 한국기업의 투자효율화 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olicy of Effective Investment of Korean Firms in Russia

배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industrial policy of Russia and the forma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strategies of Korean firms hereafter.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Korea and China in 1992, Korean firm's FDI to Russia grew rapidly. Complementary economic ties turned Russia into Korea's trading partner exceeding the US and Japan. Korean FDI to Russia exceeds $6.4 billion in 2003. In this extraordinary growth, industrial policy and FDI inducement policy of Russia government were at work. More important factor was the emergence of Korean firms losing competitiveness in labor-intensive sector and Korean multinationals with the financial and technological capability to compete directly in Russia. The massive FDI to Russia were fundamentally an expression of the expectation toward the Russia market. As the world economy becomes globalized, many countries provide various incentives to attract foreign direct investment. Korea has been also trying to attract foreign direct investment after the Korea economic crisis by means of various regulation relaxation, expansion of investment incentives, and maintenance of the investment support agency.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various systems which were prepared under the special situation where the crisis had to be overcome should be checked. And she must provide the investment incentives which are suitable for investment characteristics rather than providing comprehensive incentives. Now, the investment climate of Russia is changing. Consequently, Korean investing firms must not pursue to gain immediate results at the expense of long-term gains. Also Korean investing firms to Russia can succeed in case of maintaining competitiveness complying with the industrial an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of Russia. Therefore, FDI firms need to continuously create competitive advantages. Especially, Korean firms need to continuously create competitive advantages. Especially, Korean firms need to increase appropriate production efficiency and enlarge product differentiation in Russia by region and industry.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maintain competitiveness vis-a-vis foreign and local firms in Russia, Korean firms should actively prosecute localization and develop the sources of competitive advantage. Finally Korean firms should attempt to increase synergy effect between Korean headquarters and affiliates in Russia.

한국어

무한경쟁의 신자유주의 시대를 맞이하여 정부는 시장과 세계화를 기초로 한 새로운 정책 구 상을 강구하고 있다. 오늘날의 세계경제는 어떠한 상황에 놓여 있는가? WTO, FTA의 개막과 함께 세계경제는 한편으로는 자유무역과 국경 없는 경제의 형성을 통한 세계화의 진전이 이루어지면서 다른 한편으로 지역주의에 따 른 경제블럭화 형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세계화와 블록화의 다면적 상황 속에서 대외무 역의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는 지금 세계화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 경제의 세계화는 해외투자의 적극 적인 활성화가 그 출발점이 된다. 각국의 보호무역 장벽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사양 산업의 애로 극복을 통한 국내산업구조의 원활한 조정과 부족한 원자재의 안정적 조달 등을 위해서도 해외투자는 불가피하다고 하겠다. 한편 세계화 추세가 가져다주는 명제는 결국 경쟁을 통한 적자생존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겠다. 모든 기 업은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국제 시장에서 세계의 일류기업들과 치열하게 경쟁하여 품질 또는 가격 측 면에서 우위를 확보해야만 생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으로 한국경제는 안정적인 선진국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그래서 세계화가 완성될 단계에 이르도록 성 장과 발전을 거듭해야만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한국경제가 세계시장의 단일 시장으로의 통합화 진 전에 따른 치열한 국제경쟁력을 극복하고 보다 크게 열린 시장. 기회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국경 없는 세계경제의 경쟁력 있는 일원으로서 국민경제의 생존과 번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이 세계에서 기 업활동에 가장 적합한 나라가 되도록 변신해야 한다. 한 국가의 흥망성쇠는 그 나라 국민의 역량을 결집하여 에너지를 분출하느냐 그렇지 않으면 방향을 잃 어버리고 자중지란에 빠지느냐에 달려 있다. 일본이 메이지 유신을 일으켜 국가를 개혁하고 개방하였을 당시 경제 규모는 영국 GNP의 1/4수준이었으나 현재는 2배를 넘는 세계 제2위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반대로 필리핀은 1960년대 중반까지 아시아에서 선진국으로 분류되었으나 지금은 1인당 국민소득이 한 국의 1/9정도인 최빈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가능성은 도전하는 나라에게는 언제나 열려 있다. 민족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만 한다면 우리는 21세기 태평양 시대의 선진국이 될 수 있다. 이미 우리는 충분한 강점을 갖추고 있다. 그 동안 세 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 즉 ‘기적’을 이룬 경험도 있고 우수한 인재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 선진화의 밑바탕인 사회전체의 민주화와 개혁도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 세계 각국은 이미 21세기를 맞이하여 비전 설정과 개혁 작업을 시작하였다. 우리도 이러한 조류에 뒤지 지 않기 위해서도 세계 일류국가 진입을 위해 총체적 역량의 강화와 국가경영의 틀을 국제적 조류에 맞 게 변화시켜야 하며, 기업들도 이에 부응하여야 한다. 세계경제가 글로벌화 됨에 따라 외국인의 직접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많은 국가들이 다양한 투자유인책 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도 외환 위기이후 각종 규제완화와 자유화, 투자인센티브의 확충, 투자지원기관 의 정비를 통해 투자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외환위기극복이라는 특수상황에서 마련된 다양한 제 도들이 실효성 있는 제도인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효율적인 투자유치를 위해서는 일괄적인 투자유인책을 제시하기 보다는 투자자의 성향에 적합한 투자유인책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의 시장환경과 투자환경의 변화를 살펴본 다음에 러시아의 변화된 정책과 환경에 부응할 수 있는 해외직접투자를 행함으로써 한국기업이 장기적으로 러시아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러시아의 경제성장 및 특성을 살펴 본 다음에 러시아의 투자환경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러시아에 대한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러시아의 투자환경과 한국기업의 러시아에 대한 투자의 특징적 현상을 바탕으로 한국기업이 러시아에서 경쟁우위를 유지 할 수 있는 투자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러시아에 진출하는 한국기업들의 경영전 략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러시아의 경제 현황과 투자 환경
  2.1 러시아의 경제 현황
  2.2 러시아의 투자 환경
 Ⅲ. 러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투자 현황
  3.1 한국기업의 투자 및 진출 현황
 Ⅳ. 러시아에 진출하는 한국기업의 애로점과 투자효율화 방안
  4.1 한국기업의 대러시아 투자 애로점
  4.2 한국기업의 투자 효율화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수진 Soo-Jin Bae. 계명문화대학 경영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