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기업의 EU 진출을 위한 주요국의 비즈니스환경 비교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Business Environment of Major Nations for EU Entry of Korean Corporations

이제홍, 이건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uropean Union(EU), with around 490 million residents and 27 nations, is the world's largest single market establishing the free movement of goods, people, services and capital. The development of European economic emerged as more important problem in social spheres with the enlargement of the EU. European Union places distinguishing features on the variable and mixed-polity through continuous. Community directives, containing legal order and detailed contents on policy operation in member states have increased policy efficiency on liberalization of communication market and measurement about single market since early stages on 1990s. There was the 6th enlargement of the EU, one of the largest one in the history of the EU in 2007. This enlargement resulted in the dramatic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s well as the economic circumstance of the EU. This study is focused on comparative business environment of major nations-United Kingdom, Germany, France and Poland-for EU entry of korean corporations. The pattern of previous researches in foreign market entry of firms is defined as a stage model of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of the firm. but 27 members of EU, the enlarged European Union is expected to have influence upon its economy. Considering these different interest relations of each member country a prat of EU member countries have a negative view on the European Union Expansion. However,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European Union Expansion is to expand it to even the Eastern European area in order to avoid the uncertainty and pursue common objectives. The most important motive of Korean companies to enter the EU market is the attractiveness of the marketplace in terms of size, growth, and its location as a bridgehead for the EU-market. Regarding to the standardization of marketing strategy, we could find that marketing mix of Korean companies had nearly the same pattern as those of international companies, but Korean companies tended to modify the marketing program more than the international companies normally do. Korean companies of EU localization was operationalized as perceived attractiveness of the work place, competency of Korean expatriate managers, and coping ability for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 Korean firms' FDI into the new EU member countries also have showed dramatic changes since 2007 when the 6th EU enlargement was made. the another changes which pushed Korean firms' FDI into the EU was the FDI policy changes made by the Korean government which was designed for the promotion of FDI of Korean firms. The strength of network position is related to the set of positions of the organization of the organizations which are established there. the network degree of structuring as affected by the extent to which positions of the organizations are interdependent. EU is expected to play no more important role than secondary and supplementary one to the US influence. The enlargement of the EU can also strengthen, on the one hand, the economic pos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but on the other hand, deepen the economic competition in the middle-eastern European. The effort to overcome this shortage brings into the integration of western european countries and results in the European Union. At present, korean corporations are advancing to the region to find a larger market opportunity. The development of European citizenship emerged as more important problem in social spheres with the enlargement of the EU.

한국어

2007년 현재 EU 총 GDP는 약 16조 6천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대 EU 시장에 대한 한국수 출은 15.1% 차지하여 제 2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대 EU 수출은 대미, 대일보다 높은 수출 증가 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대 EU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상승(2007년 16.2% 상승)하여 한국의 경 쟁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영국, 프랑스, 독일이 유럽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1인당 GDP가 2006 년 기준으로 30,000유로의 소득수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는 자동차, 제조, 금융, 철강, 석유, 의 약, 전자전기 등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선진국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 중심으로 유럽진출 교두보를 확보하여 한국기업이 유럽시장 진입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 으며,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진출하기위한 비즈니스 환경을 연구함으로써 EU 시장확보와 경쟁위치개발 기회를 창출하는데 있다. 대 EU 시장에 대한 한국수출은 15.1% 차지하여 제 2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대 EU 수출은 대 미, 대일보다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대 EU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상승(2007년 16.2% 상승)하여 한국의 경쟁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영국, 프랑스, 독일이 유럽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1인당 GDP가 2006년 기준으로 30,000유로의 소 득수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는 자동차, 제조, 금융, 철강, 석유, 의약, 전자전기 등의 산업구조 를 가지고 있어 선진국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폴란드는 유럽중동부의 우리나라 기업이 진출 할 수 있는 교두보 국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이다. 유럽중동부가 유럽연합에 가입함으로써 유럽연합 입장으로서는 생산기지의 확보와 소비시장 확대 그리고 기술 집약적 제품수출시장 등 확보 효과 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 중심으로 유럽진출 교두보를 확보하여 한국기업이 유럽시 장 진입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으며,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진출하기위한 비즈니스 환경을 연구함으로 써 EU 시장확보와 경쟁위치개발 기회를 창출하는데 있다. EU 회원국의 지역구분은 EU가 개발한 NUTS(Nomenclature of Territorial Units for Statistics)에 따라 EU 지역정책을 추진하고 아울러 구조기금을 운영하기 위하여 개발한 시스템이다. NUTS 시스템은 국가 별 코드를 부여하고 국가별로 지역을 그 범주에 따라 NUTS 1, 2, 3으로 위계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의 구분기분은 대상지역의 인구규모인데 계층별로 최소 및 최대 인구 규모를 규정해 두고 있다. EU의 중동부 국가의 EU 가입은 낙후된 경제를 회생시키면서 EU의 재정지원과 수출시장확보, 외국인 투자유치가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EU의 중동부 국가의 EU 편입으로 농산물과 노동집약적 상품의 수출시 장을, EU 회원국들은 기술집약적 공산품 분야의 새로운 시장을 확보하게 된다. EU의 중동부 국가들은 EU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히 낮고 시장규모와 소득수준도 현저히 낮아 당분간 수출을 대 폭 확대할 여지가 없다. 유럽연합의 아시아 정책은 아시아에서의 유럽연합의 위상 강화를 추구하는 한편, 지역간 정치․경제적 협력의 강화를 통해 정치적 안정에 기여하고 개발도상국의 개발지원 및 민주주의, 법치, 인권문제의 증 진을 지원하는 목표를 두고 있다. 아울러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전반적인 경제 및 통상관계를 강화하고 이들 국가의 개혁 노력을 지원한다는 전제 아래, 중국, 일본, 한국과의 관계증진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중 국의 세계경제에로의 통합과 개방사회로의 전환을 지원함으써 중국과의 관계증진을 도모한다는 것을 중 요한 사항으로 제시하고 있다. 중동유럽의 신규 EU 회원국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 패턴은 기존 전자업체들에 추가하여 자동차기업이 진출함으로써 헝가리,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의 국가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다. 완제품 생산업체들의 투자진출에 따른 부품-소재 공급업체들의 동반진출도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 한국기업들의 이 지역 국가들에 대한 투자가 제조업에 치우치고 있어 무역, 유통, 물류 등 서비스업종에 대한 투자는 아직 초기단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EU의 수입규제조치는 각 회원국들이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려는 목적하에서 독립적으로 취할 수 없고, EU 차원에서 결정되며, EU 전 회원국에서 동시에 이행된다. 즉, EU는 EU 산업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판단될 때 긴급수입제한조치, 반덤핑관세부과, 상계관세부과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EU은 EU의 통상법규를 준수한다. EU의 통상정책은 공동관세, 산업피해구제제도와 더불어 제 3국의 무 역장벽 및 시장접근 정도에 관한 조사․분석을 기초로 대외통상교섭과 협정체결 등인데 다자간 또는 양 자간 협의를 통해 통상조치의 결정을 내리기도 하지만 일방적인 조치를 통해 이행하기도 한다. 2007년 5월부터 한-EU FTA 협상이 시작되었다. EU는 중국에 이어 제 2의 수출시장이며, 한국 외국인 직접투자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지역이다. 아울러 한국은 현재 EU 수입시장에서 점유율이 2% 대 있어 더욱 확대정책을 펼쳐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이러한 유럽은 각종 경제적 영역에서 미국을 비 롯한 국제사회 내 어느 지역국가 보다도 뒤지지 않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경제분 야에서 EU의 주요 정책자산으로는 개발원조와 인도주의적 원조 그리고 무역정책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데 국제개발지원의 경우 EU 회원국들은 OECD 국가 전체의 지원금 중 거의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연구 및 경제교류현황
 Ⅲ. EU 비즈니스환경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제홍 Je-Hong Lee.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무역학과 전임강사
  • 이건희 Kun-Hee Lee.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