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role of the ‘Business Associations by industry’ as a trade show organizer in Korea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trade show organizer in Germany -
초록
영어
Of the three main elements of the trade show, the organizer is a key element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trade show, such as planning & operating it and attracting exhibitors.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se organizers, it is still relatively inadequate compared to researches of the visitors and exhibito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hibition organizers, especially "Business Associations by industry(B.A.)" as an organizer developed into a unique form in Korea. In case of trade show organizer in Germany, Messe which is a venue owner has a fairly high ratio of holding trade show.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Korean trade shows, the proportion of holding trade show of B.A. that represent the general industry is as high as that of private-exhibition-companies.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the study on B.A. as a trade show organizer are sufficient given the public nature of them and the fact that they are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of the relevant industries. Holding a trade show of B.A. in Korea started as a part of export promotion and overseas marketing activities in response to manufacturing promotion policy driven by the government in 1970s. These B.A. have not only laid the foundation of trade show industry in Korea, but also played a part of the economic growth through the expansion of manufacturing-oriented trade. B.A. as the organizer of the trade show account for the second largest share followed by private-exhibition-companies. And even if following the statistical data for actual trade shows held each year, the exhibition holding ratio of them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de show industry to about 20% of the total trade show. However, in terms of holding trade show, these B.A. also have limitations such as profit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organization. Therefore, new marketing strategie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like the organizers of leading trade show in Germany in order to enhance the exhibition management capabilities. These competencies are possible through aggressive investment and new attempts, and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m in three ways. First,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uniqueness' of the B.A. as the organizer of the trade show in Korea.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cognition from exhibitor promo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visitor promotion. Lastly, understanding of the industry in the trade show hosted by B.A. should be preceded.
한국어
무역전시회의 주요 3요소 중 전시주최자는 전시회를 기획하고, 참가업체를 유치하며, 전시회를 운영하는 등 전시회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 최자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참관객과 참가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 족한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주최자를 중심으로, 그 중에서도 국내에 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해온 전시주최자로서 업종별 사업자단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 전시주최자의 경우 전시장을 보유한 메세의 전시회 개최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국내 전시회의 경우 민간전시사업자의 전시개최 비율 못지않게 일 반 산업을 대표하는 기관인 업종별 사업자단체의 비중 또한 높은 편이다. 이러한 국내 전시주최자로서 업종별 사업자 단체에 관한 연구는 이들 기관의 공공적 성격과 해당 산업의 대표기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은 충분하다. 우리나라 사업자단체의 전시회 개최는 70년대 정부주도의 제조업 육성정책에 힘입어 수출 진흥 및 해외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전시회가 전무하던 우리나 라에 전시산업의 터전을 마련하였을 뿐 아니라, 제조업 중심의 무역 확대를 통하여 우 리나라 경제성장의 일부분을 담당해 왔다. 이러한 전시주최자로서 사업자단체는 민간전시사업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실제 개최되는 전시회를 대상으로 한 통계자료에 따르더라도 사 업자단체의 전시 개최 비율은 전체 전시회의 약 20%에 이를 정도로 전시산업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자단체의 전시회 개최 또한 수익구조 및 조직구성 등 일정부분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자단체의 전시회 운용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독 일의 유수 전시 주최기관처럼 새로운 마케팅 전략과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역량은 전시회 개최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새로운 시도를 통해서 가능하며, 세 방향으 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전시주최자로서 국내 사업자단체의 ‘특수성’을 활용해야 하며, 둘째로 전시회 ‘참관객 프로모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마지막 으로 사업자단체들이 주최하는 전시회의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전시주최자 개념 및 전시주최 현황
1. 전시산업발전법상의 전시사업자
2. 업종별 사업자단체의 성격
3. 국내 업종별 사업자단체의 전시주최 현황
Ⅲ. 국내 전시주최자로서 업종별 사업자단체
1. 국내 전시주최자로서 업종별 사업자단체의 역할
2. 업종별 사업자단체의 수익구조 및 국내 전시 개최 지원금
3. 업종별 사업자단체의 조직구성 및 전문성
Ⅳ. 독일 전시주최자 서비스 비교
1. 전시산업에서의 독일과 한국의 업종별 사업자단체
2. 독일 전시주최자 운영능력
Ⅴ. 결론
참고문헌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