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나눔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예술경영 관점에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Vitalilization of Culture-Sharing Projects : from the View Point of an Arts Management

김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th of participation is limited by the specificity of the beneficiaries. Therefore, regions where the projects are conducted should be sub-divided, and regional cultural strongholds should be secured to establish a de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Second, although the contents of the program serve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beneficiaries’ decision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s, there are administrative limitations on diversification of content due to the broad scope of the projects. For this reason, culture-sharing projects should be entrusted to local arts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Third, while benefits are an important reason for the beneficiaries to choose a program, project organizers have limitations on understanding the beneficiaries’ preferences. Hence, facilities where the projects are conducted must conduct their own monitoring of the beneficiaries. Fourth, a major cause for the targeted beneficiaries’ non-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has been the lack of publicity and guidance on how to participate.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external image of the projects along with individual regional promotion. Culture-sharing projects have been funded by lottery funds with the goal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culturally excluded people’s lives by satisfying their cultural needs and narrowing the widening gaps between them and other groups. The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in diverse, direct and indirect forms for more than ten years. These projects have contributed to the project beneficiaries’ overall need for cultural enjoyment and meeting related institutions’ quantitative goals. However, they have fail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ject beneficiaries’ lives.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s surveys on the demand for culture-sharing projects, primarily based on four items: the project beneficiaries’ participation path, motives for participation, project selection criteria, and the reasons for their non-participation. We intend to use an arts management perspective to suggest ways to expand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As a research method,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analyses and analyzed surveys conducted in 2012 and 2015 on the needs of culture-sharing projects’ beneficiaries. Based on resident registration demographics in 2010 and 2015, the subjects of our analysis were selected from culturally excluded people of 16 cities, provinces, and counties,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people living on social security benefits, people who have the potential to live below poverty lines (as defined as households with 50% or less than 50% median 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people geographically excluded from cultural life, such as people living in military facilities, rental facilities, and inmates.

한국어

문화나눔사업은 문화소외계층에게 문화 충족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양극화 해소를 위해 복권기금을 재원으로 지원 받아 직·간접 형태로 10년 이상 지속되었다. 그로인해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욕구가 증대되었고 문화나눔사업 주최 기관의 종량적인 목표 수치에도 도달하였다. 그러나 수혜자의 삶의 질을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문화나눔사업의 참여 경로, 참여 동기, 선택 기준, 미참여 이유 등 네 가지 항목을 조사, 분석하여 예술경영 관점에서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을 조사 분석 하였으며 특히 2012년과 2015년 문화나눔사업의 수혜대상 수요조사 문헌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2010년과 2015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라 16개 시․도․군의 장애인과 차상위계층, 기초생활대상자, 장애인, 다문화 가정 외 군시설, 임대시설, 재소자 등 지리적 문화 소외 대상자를 포함하였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수혜자의 특수성 때문에 참여 경로가 매우 제한적이다. 그래서 수혜 지역을 세분화하고 지역의 문화거점을 확보하여 지역 분산형 관리 체계를 제안하였다. 두 번째는 수혜자의 중요한 참여 동기 요인이 프로그램 내용이지만 문화나눔사업이 광범위하여 행정적인 한계가 있다. 그래서 지역의 예술 기관이나 단체에게 사업 위탁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는 수혜자가 프로그램을 선택하는데 다양한 편익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주최 기관에서 수혜자가 선호하는 편익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수혜 시설에서는 자체적인 모니터링 추진을 제안하였다. 네 번째는 문화나눔사업의 미참여 이유로 사업 내용에 대한 홍보 부족과 사업 참여 방법에 대한 안내가 부족하였다. 그래서 사업에 대한 대외적인 이미지 홍보와 개별적인 지역단위 홍보를 제안하였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나눔사업 개요
  2. 문화나눔사업의 목적 및 지원 내용
  3. 문화나눔사업의 추진과 운영
 Ⅲ. 연구 방법
  1. 문화나눔사업의 수요조사 분석
 Ⅳ. 연구결과
  1. 문화나눔사업의 문제점
 Ⅴ. 문화나눔사업 활성화 방안 제언
  1. 문화나눔사업 활성화 방안 제언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현 Kim, Ji hyun. 한세대학교 문화예술경영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