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전략 :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비교를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Strategies of Beauty Influencer Marketing : Mass Media vs. Social Media

최지윤, 정윤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rend of beauty marketing has been changed from typical program commercial to informative contents advertisement. The scope of media usage has been extending to not only mass media but also social media. In addition, not only celebrity but also typical consumer has been employed as the spokesperson. As typical consumer has been starting to receive a lot of attention on social media as an influencer marketer.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cusing on the spokesperson type (celebrity influencer vs consumer influencer) and media type (mass-media vs social media). This study conducted a 2 x 2 between-subjects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 influencer on social-media (youtube) as a spokesperson is more effective than on mass-media (TV) in terms of consumer’s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On the contrary, celebrity influencer as a spokesperson on massmedia (TV) is more effective than on social-media (youtube) in terms of consumer’s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pokesperson type and media type on advertising effects was significant on the mediation process, but partially mediated by message acceptance of beauty contents advertisement.

한국어

최근 뷰티 업계 마케팅의 흐름은 기존의 상업성이 강조된 광고에서 정보성이 강조된 콘텐츠형 광고로 변화하고 있다. 뷰티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의 활용 또한 기존의 매스미디어에서 다양한 소셜미디어로 확대되고 있으며, 뷰티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원의 경우에도 연예인 뿐아니라 소셜미디어를 통해 유명해진 일반인이 주목받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대중에게 영향력 있는 인물을 활용하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원 유형(연예인 인플루언서, 일반인 인플루언서)과 미디어 유형(매스미디어, 소셜미디어)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실험으로 2 x 2 피험자간 요인 설계를 실시했으며, 최종적으로 총 354개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화가설 (Match-up hypothesis)을 기반으로 설정한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 일반인은 소셜미디어인유튜브에 등장하는 것이 매스미디어인 TV에 등장하는 것보다 뷰티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예인은 소셜미디어인 유튜브보다 매스미디어인 TV에 등장하는 것이 뷰티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뷰티 영상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메시지 수용도는 정보원 유형과 미디어 유형 간 상호작용이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정보원 유형에 따른 광고전략
  2) 미디어 유형에 따른 광고전략
 3. 연구가설
 4. 연구방법
  1) 실험설계
  2) 실험 표본의 선정 및 실험 절차
  3) 변인측정
 5. 연구결과
  1) 조작점검
  2) 가설의 검증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지윤 Choi, Jiy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수료
  • 정윤재 Cheong, Yunjae.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