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O2O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Policy Direction on O2O industry developing

김희영, 송성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O2O industry policy for solving the conflict problems with the traditional industry stakeholder and for enhancing the regulations as new industry development is inevitable. We make use of TAIDA that is one of scenario methods to accomplish the purpos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policy. First, it is needed to prepare directly by government the environment that new business models are able to emerge easily with various consulting services and information supports like public system servers and IT infra, it is practical support policy. Second, positive legal application for new business and making the law for new business are needed in legal issues situation as soon as possible. Third, the conflicts with old and new industry would be managed to the direction of “predictable” progressively. Incongruity among laws, safety and security problems, and the conflict of stakeholder are urgent. Because of the limit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O2O industry is categorized in detail align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that new policies along to the separate industry areas are developed by the following stud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신산업의 등장과 함께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기존 전통산업과의 이해관계 충돌 문제 및 각종 법적 규제와의 마찰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O2O산업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시나리오 기법 중의 하나인 TAIDA 기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즉 우선 직접적으로는 각종 컨설 팅 등 정보의 제공과 공용서버 등 기반시설의 제공 등과 같은 현실적 지원정책을 통해 새로운 사업 진출이 용이한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 법적인 측면에서 기존 산업형태를 기준으로 제정된 법령을 신산업에 최대한 긍정적으로 유리 하게 해석 적용함과 동시에 신산업에 적합한 법령을 신속하게 입법되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끝으로 기존 전통산업과 의 마찰 영역은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점진적인 변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요컨대 기존의 법제도간의 부조 화, 안전문제, 이해관계 그룹과의 충돌이 가장 큰 선결과제라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가 제시한 정책방향에 따른 실천적 인 정책을 강구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를 통해 O2O산업의 중요성과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적 필요성이 확인되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에 후속하여 O2O 산업을 각각의 특징별로 세분화하여 분류하고 각 산업 영역별로 구체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O2O산업의 발전과 한계
  2.1 O2O산업의 발전
  2.2 O2O산업의 한계
 3. 일본과 중국의 O2O산업 현황
  3.1 일본
  3.2 중국
 4. 국내 O2O산업 현황과 전망
  4.1 국내 O2O산업 현황
  4.2 국내 O2O산업의 전망
 5. TAIDA 기법에 의한 정책방향
  5.1 Tracking(현황)
  5.2 Analyzing(문제점분석)
  5.3 Imaging(정책방향 모색)
  5.4 Deciding(분야별 개선책)
  5.5 Acting(실행)
 6.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희영 Hee Yeong Kim. 경영학박사 한국디지털융합진흥원 본부장
  • 송성룡 Seongryong Song. 법학박사 ㈜링크투 이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