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독교 전도와 대중문화 : 패러디, 패스티쉬, 그리고 시뮬라시옹

원문정보

Christian Evangelism and Popular Culture : Parody, Pastiche, and Simulation

이민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end of 20th century, Korean churches have awakened to the fact that what would affect people, including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mostly in the new century would be culture, cultural products, and culture making. The acknowledgment of the importance of culture in the future Korean society led Korean churches into the theological discussions on how to practice Christian evangelism and mission culturally. At the same time, Korean churches developed various cultural practices of Christian evangelism. In particular, they focused on the utilization of popular culture within the church setting. In a way that is parallel to the seeker-sensitive evangelistic approaches of mega-churches in the United States and elsewhere, popular culture became very important for Korean Christian congregations because it was enjoyed by a large segment of the population and thus provided a natural bridge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Therefore, Korean churches began to bring popular culture into the church and utilize it for the sake of Christian evangelism especially relying on such practices as the seeker-sensitive worship service and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These Christian practices utilized popular cultural elements that non-Christians relish, such as movies, plays, and popular music styles, so that persons would turn to and look favorably on churches. Sooner or later, it developed into the practice that they created imitations of popular culture that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relish as a way of demonstrating their evangelistic invitation to the world by appropriating popular culture. It is certainly true that insofar as an imitation directly presents slightly modified materials of particular features of popular culture, it is an effective means of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However, there has been limited numbers of theological studies on those evangelistic media which copied popular cultural contents. Therefore, this paper will study the extent to which parodies of popular culture play a role as a significant evangelistic approach in the context of Korea Christianity from the perspective of a theology of evangelism. My working hypothesis is that parody is a creative production that makes of Christianity and popular culture a new, culturally hybrid form. Since this particular practice encompasses Christian evangelism, popular culture, and the relationship of those two by a particular artistic technique, I will examine the approach both theologically and aesthetically studying its practical, theological role within the church setting. My study will explore the theological ramifications of cultural hybridity of popular culture for Christian witness, and propose theological basics for further researches on this topic.

한국어

20세기 후반, 한국 교회는 21세기에 들어 사람들에게 가장 영향력을 미칠 요소로 문화를 꼽았다. 미래 한국 사회에서의 문화의 중요성을 깨달은 한국 교회는 기독교 전도와 선교를 문화적으로 실천하는 방안에 대한 신학적 연구를 본격화했다. 동시에 다양한 문화적 전도 방법을 고안했다. 특히나 그들은 대중문화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서구의 대형교회를 중심으로 발달한 구도자 예배와 같은 대중문화의 교회 내 활용과 맥을 같이 한다. 실제로 서구의 구도자 예배와 같은 문화적 적용은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대중문화야 말로 기독교인들과 비기독교인들 사이에 자연스러운 연계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한국 교회는 구도자 예배나 CCM의 예를 따라 대중문화를 교회 안으로 가져와 구도자 예배나 기독교 전도를 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교회 내 대중문화 활용의 특징은 비기독교인들이 즐기는 영화, 연극, 음악과 같은 다양한 대중문화적 요소를 이용하여 사람들을 모으고 그들이 교회를 긍정적으로 보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는 것이었다. 한국 교회 내 대중문화 활용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상당수의 교회에서는 사람들이 즐기는 대중문화 컨텐츠를 모방한 기독교 전도 매체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다수의 사람들이 즐기는 대중문화 컨텐츠를 적절히 수정하여 새로운 컨텐츠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대중문화를 모방한 전도 매체에 대한 신학적 연구는 아직까지 그 수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기독교계에서 대중문화의 모방물들이 어느 정도로 영향력이 있는 기독교 전도 매체로 쓰일 수 있는 지를 기독교 전도학의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무엇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방 매체가 기독교와 대중문화를 새로운 문화적 형태로 혼합한 창조적인 산물임을 전제로 한다. 특히나, ‘패러디’라는 독특한 예술 양식이 기독교 전도와 대중문화라는 두 문화를 연계하고 있는 바, 이를 신학적으로 그리고 미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본 연구의 주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한국 교회 내에서 이러한 매체가 어떻게 전도의 방편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기독교 전도와 대중문화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시하려 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대중문화를 모방한 전도 매체와 패러디
  1. 패러디의 의미
  2. 패러디와 대중문화 모방 전도 매체의 비교
 III. 대중문화를 모방한 전도 매체와 패스티쉬
  1. 패스티쉬의 의미
  2. 대중문화 패스티쉬 전도매체
 IV. 대중문화 패스티쉬 전도 매체와 시뮬라시옹
  1.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
  2. 시뮬라시옹과 한국의 기독교 전도
 V. 패스티쉬, 시뮬라시옹, 그리고 전도 매체의 메시지
  1. 기독교 복음
  2. 교회 마케팅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민형 Lee, Min-Hyoung. 미국 Boston University / 실천신학 / 전도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