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론과 통일정책: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통일관 분석

원문정보

Public Opinion and Reunification Policy : Analyses on Perspectives of Reunification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이성우, 임재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schema theory that assumes hierarchical order among the human perceptions, this paper employ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reunification as a latent endogenous variable is measured with the 5 endogenous observed variables: necessity, expectation, and timing, group interest, and personal interest of the reunification. The latent exogenous variables are (1) understanding about North Korea, (2) evaluation for the policy on North Korea, (3) evaluation on North Korean refugees, (4) evaluation on neighbor countries, (5) understanding on Korean society, and (6) personal preferences, which are measured with 15 observed variables. The statistical analys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 that latent endogenous variable, reunification,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latent exogenous variables such as economic preparedness, political preparedness, and social expectation. Although this paper is only an attempt to use analytic approach to the inter-Korean relation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survey data allow the analysts to understand the trend of public opinion on the reunification policy and to pursue a positivistic approach for the North Korean issues.

한국어

본 연구는 통일 및 북한에 대한 여론조사 자료를 활용한 기존의 분석들이 여론의 구조적 특징을 이해하기 보다는 단순한 서술에 그치고 있었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통일관련 여론의 체계적 이해를 시도하였다. 통일에 대한 여론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인간의 인식에 구조적인 위계가 존재한다는 ‘스키마 이론(schema theory)’에 근거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여 통일과 관련된 의식들 사이의 위계적 상호관계를 설명하였다. 내생 잠재요소인 통일의 인식을 구성하는 관측변수는 통일의 필요성, 통일의 전망, 통일의 가능시기, 통일의 집단이익, 통일의 개인이익으로 구성하였다. 외생 잠재요소는 (1) 북한에 대한 인식, (2) 대북정책 평가, (3) 탈북자에 대한 평가, (4) 주변국에 대한 평가, (5)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그리고 (6) 개인성향과 같이 여섯 가지로 구성하고 각각의 잠재변수에 연관되는 관측변수를 설정하였다. 통일의 준비와 기대를 나타내는 외생잠재요소는 통일에 대한 전망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의 분석을 통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통일과 관련한 여론조사 자료의 분석은 시도의 단계이지만 이를 통해서 보다 정교한 모델을 수립함으로써 통일정책에 대한 정책제안과 여론의 방향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며 북한과 관련한 연구가 실증적인 방향에서도 이루어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구조방정식 모델의 분석결과 통일에 대한 의식은 정치, 경제, 사회적 통일여건에 대한 의식과 긍정적 상호관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들어가는 말
 Ⅱ. 기존 연구의 검토와 이론
  1. 통일의식에 대한 기존연구의 검토
  2. 통일의식에 대한 구조적 인식이론
 Ⅲ. 분석결과 및 논의
  1. 모델의 적합성
  2.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
 Ⅳ. 결론 : 여론과 통일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성우 Seong-woo Yi. 제주평화연구원
  • 임재형 Jae-hyoung Lim.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