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청소년 또래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긍정적 자아개념과의 관계에서 스포츠활동 만족도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ports Activit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Positive Self-concept within Peer Group

김기섭, 장익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ports activit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positive self-concept within peer group.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tracted 250 samples from five boys high schools in Gyeonggi-do, and used survey of 232 students for actual analysis excluding the surveys with unfaithful answer or double entry. Questionnaire was used as a tool for collecting data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or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sub-factors of sports activity satisfaction as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have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self-concept with peer group. In other words, communication skills within adolescents' peer group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positive self-concept, but when sports activity satisfaction put as a moderating variable, adolescents' positive self-concept would be more improved.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 또래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긍정적 자아개념과의 관계에서 스포츠활동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6년 05월 경기도에 소재한 4 개 남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250명의 학생을 집락무선 표집방법을 통해 설 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조사 내용 중 일부가 누락되어진 무성의한 자료 18 부를 제외한 총 232부의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스포츠활동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만족,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 그리고 교육적 만족은 청소년 또래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긍정적 자아개념의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조절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청소년 또래집단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긍정적 자아개념에 중요한 변인이지만 스포츠활동 만족도가 조절변인으로 투 입되었을 때 청소년 또래집단 내 긍정적 자아개념은 훨씬 더 향상되어진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2.2 조사도구
  2.3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2.4 자료처리방법
 3. 결과
  3.1 변인간의 상관관계
  3.2 청소년의 또래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긍정적 자아개념의 관계에서 스포츠활동 만족도의 조절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기섭 Ki-Sup Kim. 경희대학교
  • 장익영 Ik Young Chang. 한국체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