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앙정부 운영 가족관련 사업의 현황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government provided family-related social services in Korea

이선혜, 장영은, 박정윤, 고정은, 최고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family-related social service provided by the public sector and investigated the unequal distribution and balance among the government departments. The study also aimed at providing a blueprint for optical family social service program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programs in terms of service target, service contents and providing methods.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29 programs revealed tha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provided the most programs. Service targets were mainly families, then parents, children and couples accordingly. Service contents were mostly consisted of parenting/education compared to emotions or relationships. Majority of the services were education combined with activities or trips. Most of the services were fully subsidized. The findings suggested that future family social services could be a combination module of counseling, education and culture focused on family relationship promotion. Moreover, more sustainable services for general families who were not necessarily faced with stress or problems would be needed. Service contents need to be reciprocal and communication-based, rather than unidirectional or educational.

한국어

본 연구는 현행 중앙정부 재정으로 운영되고 있는 가족관련 사회서비스 사업의 종류와 수를 파악하고, 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관련부처의 분포현황을 살펴 편중 및 불균형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업의 주 제공대상과 제 공되는 내용, 그리고 제공 방법에 따른 사업의 현황을 분석하여 최적의 가족 사회서비스에 대한 청사진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부부처를 통해 2015 년 한 해 동안 제공된 29개의 가족관련서비스를 분석한 결과, 여성가족부에 서 8개로 가장 많은 사업을 실시하였다. 서비스 대상은 가족, 부모, 자녀, 부 부 순으로 많았다. 서비스 내용은 양육/교육, 심리정서, 그리고 관계증진의 순 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유형으로는 대부분의 사업들에서 교육 요소가 가미된 체험여행문화의 유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일부에서는 개인 부담금 을 부과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대부분의 서비스가 국비지원으로 무료로 진행 되었다. 향후 가족관련 사회서비스는 가족관계 증진에 초점을 둔, 상담, 교육, 문화의 통합 모듈 개발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문제나 스트레스에 직면 하지 않은 일반 가족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효과성과 유연성을 갖춘 운영방식이 요구된다. 서비스 내용상으로는 일방적인 교육방식보다는 소통중심의 사업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

목차

요약
 I. 들어가며
 II. 연구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기준
 III. 중앙정부 운영 가족관련 사업의 현황
  1. 정부부처 가족관련 사업의 분포
  2. 정부부처 가족관련 사업의 대상별 현황
  3. 정부부처 가족관련 사업의 서비스 내용별 현황
  4. 정부부처 가족관련 사업의 서비스 제공방식 및 제공주기별 현황
 IV.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선혜 Sunhae Lee. 중앙대학교
  • 장영은 Young Eun Chang. 중앙대학교
  • 박정윤 Jeongyun Park. 중앙대학교
  • 고정은 Jungeun Ko. 경희사이버대학교
  • 최고운 Koun Choi. 중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