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原著

물벼룩과 제브라피쉬 배아를 이용한 Camptothecin의 급성독성평가

원문정보

Acute Toxicity Assessment of Camptothecin to Daphnia magna and Danio rerio Embryos

김현조, 김성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iological acute toxicity assessment on a major component, Camptothecin as eco-friendly pesticide was performed. Daphnia magna (D. magna) and the Danio rerio (D. rerio) embryo were used in the assay. Median effective concentration (EC50) were evaluated on D. magna according to the OECD Guideline 202. In the case of D. rerio embryos, median lethal concentration (LC50) and morphological abnormal phenomenon were examin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OECD Guideline Fish Embryo Toxicity (FET).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NOEC) and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PNEC) were derived by comparing LC50 value and EC50 values of the two organisms. EC50 of D. magna was 13.64 μM and LC50 of D. rerio embryos was 37.28 nM, NOEC and PNEC values were derived to be 6.71 nM and 0.37 nM, respectively. In addition, morphologic deformities such as coagulation, yolk sac edema, pericardial edema, bent tail, head edema and phenomenon of fertilized eggs tissue collapse in morphological deformities of D. rerio embryos were observed. As the field spray concentration of Camptothecin is 0.57 μM, it may appeared to be a temporarily strong toxicity at the spot spray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신규의 친환경 천연물인 Camptothecin의 생물노출급성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노출대상 생물 종은 물벼룩과 제브라피쉬 배아로 하였으며, 물벼룩은 OECD Guideline 202를 기준으로 반수영향농도(EC50)를 평가하였으며, 제브라피쉬 배아의 경우에는 OECD Guideline Fish Embryo Toxicity(FET)를 기준으로 하여 반수치사농도(LC50) 및 형태학적 기형 현상을 관찰하였다. 두 생물종간의 EC50값과 LC50값을 비교하여 관찰무영향농도(NOEC)와 예측무영향농도(PNEC)를 도출하였다. 물벼룩의 EC50는 13.64 μM로 나타났으며, 제브라피쉬 배아의 LC50, 관찰무영향농도(NOEC) 및 예측무영향농도(PNEC)값은 각각 37.28 nM, 6.71 nM 및 0.37 nM로 도출되었다. 문도대장골드에 포함된 Camptothecin의 실제살포농도는0.57 μM로, 이는 제브라피쉬 배아의 관찰무영향농도(NOEC)와 예측무영향농도(PNEC)의 값보다 상당히 강한 농도로 살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브라피쉬 배아의 형태학적 기형에서도 응고, 난황부종, 심장막 부종, 꼬리 굽음, 머리부종 및 수정란 조직이 와해되는 현상과 같은 기형이 관찰되어 외형적으로도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Camptothecin 을 생태계에 살포할 시 살포시점에는 상당히 강한 독성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1. 생물농약의 성분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
  2. 독성평가대상생물종의 사육조건
  3. 급성독성평가
  4. NOEC와 PNEC 도출
 III. 결과 및 고찰
 IV.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현조 Hyeon-Joe Kim.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김성준 Seong-Jun Kim.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