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몽동의 관계의 존재론에서 정신적, 집단적 개체화 : 미술교육에의 새로운 접근을 위한 시도

원문정보

Psychic and Collective Individuation in the Simondonian Ontology of Relation : An Attempt at a New Approach to Art Education

황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imondonian theory of individuation is a philosophy of becoming which intends to examine the genesis of the individual. However this philosophy is not confined to clarifying the process of becoming but instead shows how a being is structured; thus it fuses being and becoming. Being is structured by a process of relation, which we term the ontology of relation. The individual is produced from a field of the possibles, where its elements have relations, that is, a system of energy. A system based on the energy condition generates physical and biological individuals when distributing and separating the preindividual. The preindividual reality associated with living beings is a ‘transindividual reality’ and appears as an affective force. Psychic individuation comes into being when a living individual cannot settle the problem posed to him. However, as psychic individuation cannot complete itself, it requires a collective individuation. Psychic and collective individuation correspond to internal and external individuation coming into being when the same preindividual potential, that is the affectivity, has relations in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 in various ways. In this philosophy of relation, art education must return to dynamic relations and becoming without being tied to an existing philosophy of being.

한국어

시몽동의 개체화이론은 개체의 발생을 탐구하는 생성의 철학이다. 그러나 이것은 생성의 과정에 멈추지 않고 존재가 어떻게 구조화되는가를 보여주는 점에서 존재와 생성의 융합이다. 존재는 관계맺음의 과정에 의해 구조화되는데 이를 우리는 관계의 존재론이라 부른다. 개체는 요소들이 관계맺을 수 있는 가능성의 장, 즉 한 에너지체계로부터 생성된다. 체계는 에너지 조건으로부터 시작하여 전개체적 실재를 분배하고 분리하면서 물리적 개체, 생명적 개체를 생성한다. 생명체에 연합된 전개체적 실재는 ‘개체초월적 실재’이며 이것은 정념적 힘으로서 나타난다. 생명적 개체가 자신 안에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때 정신적 개체화가 출현한다. 그러나 정신적 개체화는 스스로 완결되지 못하여 집단적 개체화를 요구한다. 이와 같은 관계의 존재론이 미술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기존의 존재의 철학에서 다루어진 정적인 관점을 벗어나 역동적 생성과 관계맺음의 차원으로 거슬러 올라갈 경우 세계를 지각하는 새로운 지평이 열릴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목차

요약
 들어가는 말
 전개체적 실재의 논리
 관계의 존재론과 개체화
 생명적 개체화에서 정신적 개체화로
 정신적 개체화 – 강도적(intensive) 지각과 정념감동성(affectivo-émotivité)
 정신적 개체화와 집단적 개체화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수영 Su-Young Hwang. 홍익대학교 교양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