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중세국어 사이시옷의 기능

원문정보

The Function of ‘Saisiot’ in Middle Korean

유소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ㅅ’ in Middle Korean has been dealt with two perspectives. One is “Is ‘ㅅ’ considered as the grammatical marker or the phonological marker?” and the other is “Are the Saisiot marking Saitsori phenomenon and the grammatical morpheme ‘ㅅ’ considered as one or separate thing”. After considering recent arguments, the fact that ‘ㅅ’ in Middle Korean functions as the adnominal case marker can be verified. Usages of ‘ㅅ’ which have been defined as Saisiot marking Saitsori phenomenon can be considered as the adnominal case marker. To define ‘ㅅ’ as the adnominal case marker, this paper solves issues of how to define the concept of ‘Case’ in Korean and how to define the usages of ‘the Adnominal Case’. Also, through expanding the concept of ‘the Adnominal Case’ broadly, this paper confirms that examples considered as exceptional usages of Saisiot in Middle Korean in current studies can be explained as the adnominal case marker and checks what functions the adnominal case has and what characteristics the adnominal case has.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s two issues that can occur if ‘ㅅ’ in Middle Korean is only considered as the adnominal case marker. The various letters called as allomorph of Saisiot can be considered as orthography influenced by the phoneme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condition where the adnominal case marker is actualized. This orthography only appears on several literature and is a unique phenomenon. Furthermore, this paper checks that because the condition where the adnominal case marker is actualized is quite similar to the condition where Saitsori is actualized, the error that the adnominal case marker is defined as a sign marking Saitsori phenomenon can appear.

한국어

본고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이시옷으로 불리던 중세국어의 예들 중 관형격표지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관형격’의 개념을 넓게 본다면, 중세국어의 사이시옷 중 관형격표지로 설명이 가능한 경우가 존재한다. 관형격표지가 실현되는 환경은 관형격표지에 의해 결합되는 선행요소와 후행요소가 매우 긴밀한 관계를 지녀, 하나의 발화단위로 인식되는 언어단위이다. 이들은 하나의 발화단위로 인식되지만 그 사이에 음운론적 단어 내부경계를 지니는 두 요소 간의 결합이므로 경계를 인식해 발화하게 되며, 이를 통해 나타나는 음운현상이 기존에 사잇소리 현상이라고 불리는 음운현상이다. 따라서 중세국어 시기의 사이시옷 중 관형격표지가 실현되는 환경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음운현상을 반영한 ‘ㅅ’이 존재할 것이며, 이때의 ‘ㅅ’의 쓰임을 근대국어와 현대국어의 ‘ㅅ’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1. 서론
 2. ‘ㅅ’과 관형격 표지
 3. 중세국어 사이시옷의 쓰임
 4. 사이시옷과 사잇소리 현상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소연 Yu, Soyeon. 충남대학교 박사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