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한글 성경 자료의 표기와 음운 연구사

원문정보

On the History of Notation and Phonological Study of Korean Bible Materials

김동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notation and phonological study on the texts of the early Korean bible. The notation research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by the period. early (1971-1981), middle (1982-2000) and later (2001-2016). The main contents of the discussion were the efforts to find the consistency of the nota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notation between the catholic and protestant bible texts. It is typical to confirm that GakJaByeongSeo (각자병서) for fortis appears only in catholic materials in the early Korean bible. The focus of the study on phonology in the early Korean bible was that the bible materials that Ross translated in Manju reflected the north-west dialect. The major phonological phenomena was pointed out in the reflection of the dialect of the north-west. For exemple, the palatalization, the rounded vowelization, and the notation of word-initial ‘ㄹ, ㄴ’. Other phonological fact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ame perio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nother Korean edition of same original bible has revealed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Korean bible and confirmed the change direction of the notation and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order to study systematically on the notation and the phonology of the Korean language of Korean Bible, a database for all the Korean bible is required. There is a limit to the research that researchers describe impressively the notation and the phonology of the Korean language by some partial data.

한국어

본고는 초기 한글 성경을 대상으로 연구한 업적들 중에서 표기와 음운을 주제로 다룬 것을 대략적인 연구사적 검토와 중요하게 논의되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흐름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표기법 연구는 흐름에서 시기별로 3단계 정도로 각각 나눌 수 있었고, 주요 논의 내용은 표기의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노력과 천주교계와 개신교계 문헌 등 자료 간에 표기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었다. 된소리를 나타내는 각자병서가 초기 한글 성경에서 천주교 자료에서만 보인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 대표적인 것이다. 음운론 연구는 영성한 가운데 관심이 집중되었던 것은 로스가 만주에서 펴낸 성경 자료가 서북방언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서북방언의 반영으로 지적된 주요 음운현상은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어두 ‘ㄹ, ㄴ’의 표기 등이었다. 이외의 음운적 사실은 개화기 일반의 것과 큰 차이가 없다. 이본 간 번역문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는 해당 번역문의 문헌적 특성이 밝혀지거나 표기와 음운의 변화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글 성경 자료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위해서는 전체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가 요청된다. 연구자들이 일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인상적으로 기술하는 것으로는 연구의 한계가 있다.

목차

요약
 1. 한글 성경과 국어 연구
 2. 표기와 음운의 관계
 3. 표기법
 4. 음운론
 5. 이본 간 표기와 음운 연구
 6.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언 Kim, Dongun. 강남대학교 한영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