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청자와 송대 청자의 조형 분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rmative Analysis of Koryo Celadon and Song Dynasty Celadon

천모위엔, 강성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 and Chin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development of celadon. Also, celadon is working as an important foothold to correctly understand the history of both countries, and also to recognize the value of culture. Celadon has expressed the modern ceramic with plural characteristics, as applied fine arts accepting the traditional formative elements and new concepts. Like this, the creation of modern celadon not only shows the ethnic characteristics of succeed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eladon, but also uses the modern elements, which is significant to largely contribute to celadon of both countrie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in-depth researches to promote the cultural exchange for celadon between Korea and China by seeking for design elements of celadon, show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eladon in the Goryeo and Song Dynasty fully reflecting the past history, and looking for the future direction of modern celad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functional strengths.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works for the creation of modern celadon based on Korea-China traditional celadon, and also to concretely research the decorative expressing method by maintaining/succeeding the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shown in works by focusing on the use of modern elements and traditional formative elements. Based on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status of celadon in the Goryeo and Song Dynasty which were the glory days of celad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of celadon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expanded exchange of ceramic culture and diverse cultures between the Goryeo and Song Dynasty in the same period of time. Through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on changes in formativeness of celadon in the Goryeo and Song Dynasty, the unique color, pattern, and shape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s a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this researcher received a clue of important formative aesthetic sense to deeply study celadon and also to teach inlaid technique to younger students in China, by research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oryeo celadon focusing on inlaid technique. Furthermore,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cultural exchange and development of celadon of both countries by creatively developing the historicity of ethnic culture with modern elements through the combination of inlaid technique with works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celadon. And also to larg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eramic culture in Korea, China, and Asia, by extensively researching cases in which ceramics of Korea and China have influenced each other.

한국어

한국과 중국은 유구한 도자기 역사와 문화를 가진 국가로 청자의 발전에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청자는 양국의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문화의 가치를 인정받는데 중요한 발판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청자의 전통적인 조형과 장식요소 등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전통 청자의 조형적 특징을 계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는 한·중 양국 현대 청자의 발전에도 기여한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현대 도예가들은 청자의 디자인적 요소 등을 모색하고 개발하는데 있어서, 과거의 역사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고려청자와 송대 청자의 조형적 특징을 모태로 하여 활용하는 동시에 기능적 장점 등을 접목시켜 앞으로 현대 청자의 발전적 방향을 찾아 양국 청자의 문화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서 깊이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중 전통청자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조형요소 및 조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전통적 제작기법과 장식 표현기법 등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자의 발전에 있어 전성기를 맞았던 고려와 송대 청자의 생성과 변천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기초로 하여, 동 시대 속에서 고려와 송대가 다양한 문화와 함께 도자문화 교류가 확대됨으로 서 청자 발전에 미친 영향이 지대함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조사 자료를 통해 연구하고자 하 였다. 또한 고려청자와 송대 청자의 조형성 변천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독특한 유색, 문양, 형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일인이자 중국인 연구자으로서, 특히 한국 고려청자의 조형적 특징을 연구함으로써 중국으로 돌아가서 전통청자와 상감기법 등을 후학에게 알려주고, 더불어 앞으로도 청자를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할 중요한 조형적 미감의 한 단서를 제공받았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국 전통 청자가 갖고 있는 역사성과 조형적 특징 등을 현대적 요소로 창작 발전 시켜 한·중 양국 청자 문화와 도자예술의 교류와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 한국과 중국 도자기가 서로에 영향을 미친 사례들을 보다 많은 영역으로 확장해서 연구함으로써 한국과 중국, 그리고 아시아 지역은 물론 인류 도자기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한다.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과 범위
 Ⅱ. 고려와 송대 청자의 형성과 변천
  1. 고려청자의 변천과정
  2. 송대 청자의 변천 및 주요 요지
 Ⅲ. 고려청자와 송대 청자의 조형적 특징 분석
  1. 유색의 특징 연구
  2. 문양 장식의 조형성 연구
  3. 기물의 조형성 연구
 Ⅳ. 결론
 도표 및 그림 목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천모위엔 Chen Moyuan. 전남대학교
  • 강성곤 Kang, Sung-kon. 호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