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최승희 춤의 국제성

글로컬리즘의 시각에서 바라본 최승희

원문정보

A Study of Choi Seung-hee throughthe Perspective of Globalism

김호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raced Choi Seung-hee’s dancing career in Europe and the Americas between 1937 and 1940. Choi is recognized as a pioneer who built the foundation of modern Korean dance. Called “the dancer of the peninsular” and very popular in Korea and Japan, the celebrated dancer extended her career to Europe with the ambitious mission to introduce Joseon dance to an international audience in the late 1930s. As the Japanese novelist Yasunari Kawabata put it, her dance was powerful and based on her ethnic roots, which became representative of her as a dancer. Meanwhile, most Korean intellectuals criticized her dance for failing to fully express their nation’s identity; this was because it was a mix of Western-style and traditional Korean techniques. Despite this criticism, her dance proved itself to be fascinating enough to attract an international audience, presenting the uniqueness of an ethnic culture in a dignified and fresh way. It also suggested that the legendary dancer’s work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created a new value system with a blend of globalization, locality, and democratic elements.

한국어

이 연구는 최승희의 1937년부터 1940년까지 유럽 및 남북 아메리카에서의 활동 양상을 살핀 것이다. 최승희는 한국 근대무용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중요성을 지닌다. ‘반도의 무희’라 불리어지며 한국과 일본에서 대중의 인기를 얻은 그녀는 ‘조선춤의 세계화’를 꿈꾸며 1930년대 후반 유럽 등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일본 소설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표현대로 최승희의 춤은 선이 굵은 무용과 민족적 냄새가 강하게 드러나는데, 이러한 면모는 그녀를 표상하는 이미지로 자리하였다. 그렇지만 한국의 지식인들은 그녀의 춤이 서양식 춤에 전통무용의 기법을 사용하여 조선의 정체성(identity)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자(他者)가 바라본 그녀의 춤은 민족문화의 특수성을 서양인에게 경외와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기에 충분한 매력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세계화와 지역성 혹은 민족주의 요소가 혼용되어 하나의 새로운 가치체계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작업이었다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최승희 춤의 경계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
 Ⅲ. 타자(他者)가 인식한 최승희 춤의 보편성과 특수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호연 Kim, Hoyoen. 강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