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안전문(screen doors) 설치 이후 지하철 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융복합적 관련성

원문정보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Subway Operators after the Installation of Screen Doors

최숙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levels of 669 subway operators in Seoul after the installation of screen doors and their mental health.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via web site.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total score of job stress turned to be higher than the standard score, and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insufficient job autonomy, interpersonal conflict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within the top 50% and organizational system within the top 25%. A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job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ub-domains of mental health. In terms of effects of job stress on mental heal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job demand, organizational system, lack of reward and occupational climat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6.6%.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measures accustomed to job characteristics to prevent job stress of subway operators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지하철 기관사 669명을 대상으로 안전문(screen doors) 설치 이후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로 웹 사이트에서 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하철 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 전체 점수는 기준 점수 보다 높았으며,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및 직장문화는 상위 50%에, 조직체계는 상위 25%에 해당되었다. 상관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정신건강 하위영역 모두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및 직장문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설명력은 36.6%이었다. 향후 지하철 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해 직무특성에 맞는 조직차원의 관리방안 마련과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근거마련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2 연구도구
  2.3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3.2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3.3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
  3.4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숙경 Choi Suk-kyong.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