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발계수행렬에서 투입유발액과 생산유발액의 차이는 왜 발생하는가? : 최종수요를 원인변수로 한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Why Does the Difference between Input Requirements and Output Requirements Occur in the Requirements Matrix? : Based on a Causal Relation Considering the Final Demand as a Cause Variable

김호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1) We first clarify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input requirements and output requirements occur in the requirements matrices. (2) Based on a causal relation considering the final demand (f) as a cause variable, we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input requirements (p and q ) for final demand (f) and gross output (x), and between (gross) output requirements (x) and final output requirements (o). (3) Through the formulas derived from the cause and effect variables, we empirically calculate input requirements, output requirements, and final output requirements from the 2013 national input-output (IO) tables compiled by the BOK and compare with the real differences among three different estimated variables of requirements. We then introduce the four requirements matrices: the two input requirements matrices Γf and Γ9 for final demand and (gross) output and the two output requirements matrices Cf and C9 for final demand and (gross) output, respectively by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in the requirements matric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유발계수행렬에서 투입유발액과 생산유발액의 차이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다양한 방법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2) 특히 최종수요(f)를 원인변수로 한 투입유발액과 최종수요를 원인변수로 한 생산 및 최종산출유발액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그 차별적인 성격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3) 유도된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식을 토대로 하여, 투입유발액과 생산 및 최종산출유발액에 대한 경험적 사례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이들 유발액 사이의 실제적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실증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는『2013년 산업연관표』이며, 최종수요에 대한 생산유발계수행렬(Cf)은 국산과 수입을 통합한 Cf=(I-A)-1형으로 하였다. 유발계수행렬은 투입유발계수행렬과 생산유발계수행렬로 크게 대별된다. 투입유발계수행렬은 다시 산출물에 대한 투입유발계수행렬(Γ9)과 최종수요에 대한 투입유발계수행렬(Γf)로 구분된다. 생산유발계수행렬은 산출물에 대한 생산유발계수행렬(C9)과 최종수요에 대한 생산유발계수행렬(Cf)로 나누어진다. 원인변수가 최종수요(f)일 때에 최종수요에 대한 투입유발액(p)과 원인변수가 총산출(x)일 때에 산출물에 대한 투입유발액(q)을 각각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원인변수가 최종수요(f)일 때에 생산유발액(x)과 최종산출유발액(o)을 각각 추계할 수 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두 투입유발계수행렬과 두 생산유발계수행렬 사이의 피어슨 상관계수(γp)와 스피어맨 순위상관계수(γs)를 각각 구하면 모든 유발계수행렬 상호간에는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투입유발계수와 생산유발계수에서 제9부문(제1차 금속제품)이 유발효과 면에서 모두 제1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세 경제 변수와 유발계수행렬
 Ⅲ. 투입유발액과 생산유발액의 차이
 Ⅳ. 투입유발액과 생산유발액의 경험적 연구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호언 Gim, Ho Un. 계명대학교 경제금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