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항우’에 대한 기억의 변화와 조선 후기의 문학적 재현

원문정보

Changes in the memory of Hsiang Yu and Reproduction of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하윤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lot of sources containing the story of Hsiang Yu of 『Book of Han(漢書)』, 『Tongzian(通鑑)』 and 『Saryak(史略)』, etc. including 『Shiji(史記)』 of Sima Qian created in large quantities not less kinds of performative meanings by passing through meaning performers of future generation said to be ‘authors’. Authors of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s[Si-jo] as well of late Joseon period who foundered the motif of Hsiang Yu had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of meaning action, they reproduced image of Hsiang Yu that they would like to draw the appearance by abstracting or combining specific part out of diverse features for Hsiang Yu that corresponding sources are containing. And it is concerned in the issue of ‘memory’ in the very this process. When Nietz’sche mentioned “older than sense” for the memory, what this aphorism indicates concretely is that the memory is the meaning floating on the surface of water as it is potentiated in the unconsciousness of human being by the special opportunity. At that, the memory as well would be taken out as the different image with the potential memory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circumstance of principal agent of memory as the unconsciousness of human being reveals the identity as the distorted form through the dream. If we would like to substitute this in the substance of discussion that we studied, the figure of Hsiang Yu appeared in late Joseon literary works is reappeared with the quite different image from the previous, it aimed to excavate traces of changed memory through the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novel and Sino-Korean poem produced in the corresponding period in this manuscript, it aimed to connect the periodic condition giving an impetus to this and circumstance to the ex post facto measure to overcome the humiliated experience for Qing invasion of Joseon.

한국어

사마천의 『사기』를 비롯하여, 『한서』, 『통감』, 『사략』 등 항우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수많은 원천들은 ‘작가’로 일컬어지는 후대의 의미행위자들을 통과하여 적지 않은 종류의 수행적 의미들을 양산해 냈다. ‘항우’ 모티프를 시조화한 조선 후기의 시조 작가들 역시 이러한 의미행위의 과정에 적극 참여한 것인바, 그들은 해당 원천들이 품고 있는 항우에 대한 다양한 면모들 중 특정 부분을 절취 또는 조합하여 자신이 그리고자 했던 항우의 모습을 재현한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 과정에 ‘기억’의 문제가 관여한다. 니체가 기억에 대해 “의식보다 더 오래된 것”이라고 말했을 때, 이 아포리즘이 구체적으로 가리키는 바는 기억이란 인간의 무의식에 잠재되어 있다가 특별한 계기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한다는 의미일 테다. 그것도 인간의 무의식이 꿈을 통해 왜곡된 형태로나마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는 것과 같이 기억 역시 기억 주체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잠재된 기억과는 또 다른 모습으로 인출된다는 것이다. 이를 우리가 살펴온 논의의 대강에 대입시켜 보자면, 조선 후기 문학작품들에 나타난 항우의 형상은 이전의 그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재현된 것인바, 본고에서는 해당 시기에 산출된 시조와 소설, 한시를 통해 변화된 기억의 흔적들을 발굴해 내고자 했으며, 이를 추동한 시대적 조건과 상황을 병자호란에 대한 치욕스런 경험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사후적 조치의 일환으로 연결 짓고자 했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의 소재
 2. 초한 고사 시조에 대한 연구사 검토
 3. 초한 고사 시조의 문제적 국면: ‘항우’의 형상을 중심으로
 4. 초한 고사 시조의 창작 동인: 항우에 대한 낯선 기억의 탄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윤섭 Ha, Yun-sub.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