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blems of the operation of Protective Disposition No.6 facilities in Korea and proposes improvement of the facilities by exploring the cases of Ohio, United States. Indeed, this study examines comprehensive program evaluation tools which have been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correctional facilities or protective facilities in the U.S. and the probability of the application of those tools to Korea. According to the main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the operation of Protective Disposition No.6 facilities in Korea has a number of problem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implementation of programs, that is, (1) although many Protective Disposition No.6 facilities have operated a variety of programs there are no systemic designed to correct delinquent behaviors, (2) there is little chance of developing programs that are helpful to correct delinquent behaviors and stimulate interest of juvenile delinquents (3) staff working in Protective Disposition No.6 facilities does not receive adequate training which is necessarily required in order to effectively work in the facilities, and lastly (4) many facilities do not develop a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which is requir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In the case of Ohio, on the other hand, a wide range of rehabilitation programs which focus on risk, criminogenic needs, and responsivity of delinquents (R-N-R model) have been provided in protective facilities and community correction facilities. In detail, clinical assessment,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CBI), education services, family preservation, life skills, mediation, parental support, and substance abuse treatment are provided to delinquents living in community based facilities and more importantly it has long been known that these rehabilitation programs significantly reduce recidivism. In addition to this, many community-based facilities in U.S. have performed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with CPC(Correctional Program Checklist) and CPAI(The Correctional Program Assesment Inventory)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programs. Lastly, this study reviews the applicability of CPC and CPAI in Korea.
한국어
이 연구는 한국의 6호 처분 위탁 시설의 문제점을 프로그램 중심으로 살펴보고, 미국 오하이오 주의 지역사회 기반 교정시설의 운영 사례를 통해 한국의 6호 시설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미국의 민간시설 소년범 위탁시설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탐색하고 한국적용가능성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정리해 보면, 6호 처분 시설들의 경우 재사회화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으나 체계적으로 운영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소년범들의 재범방지에 효과가 있는지 프로그램의 평가체계는 구비되어 있지 못하였다. 반면, 미국 오하이오 주의 경우에는 소년범의 범죄학적 특성과 위험, 요구, 반응성(R-N-R)에 기반한 사회복귀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는 임상평가(Clinical assessment), 인지행동개입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CBI), 교육 서비스(Education Services), 가족 보호(Family preservation) 프로그램, 정보 및 인식(Information and Awareness), 생활 기술(Life Skills), 중재(Mediation), 멘토(Mentors), 가족지지(Parental Support), 복구(Restoration), 약물 남용 치료(Substance Abuse Treatment)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이 소년범의 재범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성이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또한 커뮤니티 기반의 교정 시설 및 사회복귀 프로그램의 대표적 평가척도인 CPAI(The Correctional Program Assesment Inventory) 및 CPC(Correctional Program Checklist) 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척도의 경우 한국에서도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방법
Ⅱ. 선행연구 고찰
Ⅲ. 6호 처분 시설과 프로그램
1. 6호 처분의 현황
2. 6호 처분 위탁시설과 프로그램
Ⅳ. 미국의 커뮤니티 기반 교정 시설 위탁 및 프로그램 운영, 평가체계 : 오하이오 주 사례
2. CCF 내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재범 억제 효과
3. 민간시설 소년범 위탁시설 평가도구 및 한국적용가능성
Ⅴ.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