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문학 이론인 “낯설게 하기”의 설교학적 적용 : 설교전달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pplication of Defamiliarization as a Literature Theory in Homiletics : Focused on the Delivery of Sermon

이승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omiletics has been developed with support from other disciplines. In these disciplines, literature has been a good avenue for developing homiletics. Not only preaching, but also the Bible, has a literary character: this means that preaching and literature are very closely related. Therefore, the study of literature can be very meaningful work for the development of homiletics. In this paper, the writer introduces the notion of defamiliarization, from Russian Formalism, and applies it to homiletics. Defamiliarization is a literary theory that aims to overcome the phenomenon of loss of interest in a subject to which one has become accustomed, owing to automatization and habitualization of perception. The writer suggests defamiliarization as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of loss of attention to preaching that is familiar or boring. Frist, the writer introduces Russian Formalism and defamiliarization. Then he analyzes how defamiliarization can overcome automatization and habitualization of perception in preaching. There is a structural limitation to bringing automatization and habitualization of perception into the preaching context. As a long-term ministry, preaching works as follows: one preacher delivers a sermon to the same congregation based on the Bible text-from just one textbook-for a long time. In this situation, the preaching and its content are generally familiar to the congregation. Moreover, it is very easy for that congregation to become familiar with the content of the preaching because the Bible has many similar stories. A result is automatization and habitualization of perception in preaching, causing disturbance of perception and boredom. Defamiliarization is very useful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writer suggests impeding perception as the main concept in effectuating defamiliarization. He also suggests specific ways to effect defamiliarization: using inductive preaching and narrative preaching, giving the sermon an ambiguous title, changing the order of the Bible text readings, giving a detailed explanation or description, renaming, using a new and different perspective, and using various preaching formats.

한국어

설교학은 많은 부분에서 다른 학문 분야의 도움을 받아 발전해 왔다. 그 중 에서 문학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설교가 문학적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성경이 문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에 설교와 문학의 관계는 매우 밀접할 수밖 에 없다. 이런 의미에서 문학 이론을 연구하는 것은 설교학의 발전을 위해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 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러시아 형식주의의 낯설게 하기 라는 개념을 소개하고 설교학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낯설게 하기는 인식의 자동화 혹은 습관화 현상으로 인해 어떤 대상이 너무 나 익숙해져서 더 이상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 시된 문학 이론이다. 필자는 이 개념을 익숙해진 설교, 지루해진 설교의 문제 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먼저 러시아 형식주의와 낯설게 하기 개념을 소개한 후 이 개념이 설교 안에서 어떻게 인식의 자동화, 습관화를 극복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설 교 상황은 인식의 자동화, 습관화를 가져오는 구조적이고 상황적 한계를 가지 고 있다. 설교는 장기적 사역으로 한 설교자가 같은 청중에게 한권의 텍스트인 성경을 가지고 오랜 시간 동안 설교하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 서 설교행위와 그 설교 내용은 청중들에게 익숙해지기 마련이다. 특별히 성경 안에는 유사한 내용들이 많아 청중들이 설교 내용에 익숙해지는 것은 매우 자 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러한 설교 안에서의 인식의 자동화, 습관화는 설교에 대 한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루함을 유발하게 된다. 낯설게 하기 이론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매우 유용하다. 필자는 낯설게 하기의 핵심 방법으로 인식의 지연을 제시한다. 그리고 낯설게 하기를 위한 실 제적 방안으로 귀납적 설교와 내러티브 설교 형식의 적용, 설교 제목의 모호성 도입, 설교본문 읽기 순서 변경, 자세한 설명과 묘사, 다른 이름 혹은 표현 사 용하기, 새로운 관점 사용하기, 다양한 설교 형식 사용 등을 제시한다.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펴는 글
  1. 러시아 형식주의와 낯설게 하기의 이해
  2. 설교에서의 인식의 자동화와 습관화 - 익숙해진 성경, 지루해진 설교
  3. 낯설게 하기 이론을 설교에 적용하기
 III.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정보

  • 이승우 Lee, Seung-Woo. 대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