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최다혜, 이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Participants were 467 men and women who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Korean vers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loneli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as well as six factors of the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and each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fact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sex and age. Among 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mpulse control difficulties’ and ‘lack of attention to and awareness of emotion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eliness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specifically by the lack of awareness or difficulties in controlling negative emotion such as loneliness. This finding has clinical implications such that intervention for smartphone addiction should focus not only on loneliness but also o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서조절의 어려움이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남녀 467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 스마트폰 중독 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를 실시하였다. 상관 분석 결과, 외로움은 스마트폰 중독 및 정서조절곤란의 6가지 요인들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각 정서조절곤란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정서조절곤란 요인들이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후에도 외로움은 스마트폰 중독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정서조절곤란 요인들은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정서조절곤란 요인들 중에서는 ‘충동통제곤란’과 ‘정서에 대한 주의와 자각 부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외로움이 정서조절곤란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외로움과 같은 부정적 정서의 자각이나 통제의 어려움이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끄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 개입 시 외로움만을 다루는 것보다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임상적 함의를 가진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분석방법
 결과
  외로움, 스마트폰 중독, 정서조절곤란의 관계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다혜 Dahye Choi. 심리건강연구소
  • 이혜진 Hyejeen Lee.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