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감정확도 및 정서표현 능력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empathic accuracy and emotional expressivity on interpersonal attraction

남혜림, 김서희, 주은영, 양재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and nonverbal emotional expressivity are related to interpersonal attraction. The same-sex pair of subjects, who did not have any acquaintance, were matched in advance, and they were asked to talk about their recent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while their front being videotaped. During the conversation, which lasted eight minutes, the partners took turns in talking about their events, with two minutes for each event. After the talk, subjects completed the interpersonal attraction in the separate room, and watched their own videotape to record their emotion felt during the conversation with a software for continuous affect rating. Also, they were requested to view their partner’s videotape and infer what he or she felt. Empathic accuracy and the degree of emotional assimilation were calculated based o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ubject’s self-affect rating and subject’s inference about the partner. Nonverbal emotional expressivity was measured by two same-sex rat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watched videotapes of every subject without sou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terpersonal attr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empathy and positive nonverbal emotional expression. Also, positive indirect-only mediation through emotional empathy was observed between cognitive empathy and interpersonal attra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공감의 인지적 요인 및 정서적 요인, 비언어적 정서표현능력과 호감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두 명의 낯선 동성 참가자를 짝지어 최근에 경험한 긍정적, 부정적 사건에 대해 번갈아 이야기 하도록 하였으며,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 참가자의 정면 모습을 녹화하였다. 대화가 종료된 후 참가자는 독립된 공간에서 상대방에 대한 호감도를 평정하였다. 평가 후 참가자는 자신의 녹화 영상을 시청하며 대화 중 자신이 느꼈던 감정을 연속적으로 기록하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상대방의 녹화영상을 시청하며 상대방의 감정을 추론하여 기록하였다. 본인과 상대방의 감정을 기록한 결과들의 일치도를 급내상관계수로 비교하여 인지적․정서적 공감정확도를 수량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두 명의 독립적인 동성평정자로 하여금 참가자의 음성을 제거한 녹화 영상을 보여주고 참가자의 감정을 평정하여 비언어적 정서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호감도와 정서적 공감 그리고 긍정적인 비언어적 정서표현 간의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인지적 공감정확도와 호감도의 관계는 정서적 공감정확도에 의한 간접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실험 절차
  측정 변수
 결과
  공감정확도, 정서표현의 정도와 호감도 간 상관분석
  인지적 공감정확도와 전반적 호감도의 관계에서 공감정확도의 매개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혜림 Hye Rim Nam.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김서희 Seo Hee Kim.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주은영 Eun Young Joo.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양재원 Jae-Won Yang.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