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시기의 越窯風 雙蝶紋ㆍ雙鳳紋靑瓷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越窯의 관점에서 본 고려 초기청자의 새로운 면모 -

원문정보

Several issues related to the Goryeo celadons with the Yue ware(越窯) -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 The new aspects of the early Goryeo celadon from the perspective of Yue Ware

고려시기의 월요풍 쌍접문ㆍ쌍봉문청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월요의 관점에서 본 고려 초기청자의 새로운 면모 -

李喜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unprecedented pieces of the Goryeo celadon incised with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have recently been discovered. This research reviewed the production kiln, consumption place, production period of them and the meaning of the appearance of them in development of Goryeo celadon. The number of the samples of the Goryeo celadon with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is 19 in total. They were all produced in the Sadang-ri kiln, Gangjin, and mainly consumed by the royal court of Goryeo in Gaeseong. In addition, the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was modeled after th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of Yue ware in the early northern Song Dynasty. Sadang-ri kiln made Goryeo celadon with such designs from anytime in the first harf of the 11thcenturytoatthelatestearly12thcentury.Inotherwords,theGeryeoceladonswiththeYueware-typedesignoftwobutterfliesortwophoenixesweretheproductsoftheeraoftheearlyGoryeoceladon. It is known that decorating with some designs over wares was almost not in trend in the era of the early Goryeo celadon. However, if the Goryeo celadons with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were produced in the era of the early Geryeo celadon, it is regarded that the designs were already popular to some extent in the era of the early Goryeo celadon at least in in Sadang-ri kiln, Gangjin, unlike what has been understood. In the meantime, it remains a huge question that the Goryeo celadons with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were discovered only in the kiln sites in Sadang-ri among numerous Goryeo celadon kiln sites in Gangjin and have never been discovered in any other kiln sites, including the kiln site of No.9 and No.10 in Yongun-ri. This could be caused by the possibility that the kiln sites in Sadang-ri that produced the Goryeo celadons with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and the other kiln sites in Gangjin had different aspects of celadon production.

한국어

근래 고려청자에서 보이지 않던 월요풍의 쌍접문 또는 쌍봉문이 음각된 청자편들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월요풍의 쌍접문․쌍봉문고려청자의 생산 요장, 소비처, 제작시기 및 이러한 문양이 새겨진 청자의 출현이 고려청자의 전개에서 갖는 의미 등을 검토하였다. 현재까지 알려진 월요풍 쌍접문․쌍봉문청자의 표본은 모두 19점이다. 이것들은 모두 강진 사당리요장에서 제작되었으며, 그 주요 소비처는 개성의 고려 궁정이었다. 그리고 월요풍 쌍접문과 쌍봉문의 모방 대상이 된 것은 각각 북송초기 월요의 쌍접문과 쌍봉문이었다. 사당리요장에서는 대략 11세기 전반의 어느 때부터 늦어도 12세기 초기까지 이러한 문양을 가진 고려청자를 제작하였다. 말하자면, 월요풍 쌍접문․쌍봉문청자는 고려 초기청자시기의 산물이었다. 고려 초기청자시기에는 문양이 거의 유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월요풍의 쌍접문․쌍봉문청자가 초기청자시기에 제작된 것이라면, 적어도 강진 사당리요장의 경우는, 이제까지의 이해와 달리, 이미 초기청자시기에 어느 정도 문양이 유행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강진에는 초기청자를 생산했던 요장이 적지 않다. 그런데 이들 가운데 사당리요지를 제외한 나머지 요지들의 경우, 하나같이 그곳에서 출토된 초기청자 가운데 문양이 있는 것은 매우 드물다. 이러한 사실이 우연의 결과가 아니라면, 그것은 강진요의 범위 안에 있던 사당리요장과 그 밖의 요장—非沙堂里窯場—의 경우 문양을 포함한 청자제작의 양상자체가 달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월요풍 쌍접문·쌍봉문청자의 출토 현황과 생산 요장 및 소비처
 Ⅲ. 월요풍 쌍접문·쌍봉문청자의 문양과 裝燒技法의 특징
  1. 문양
  2. 裝燒技法
 Ⅳ. 월요에 있어서 쌍접문·쌍봉문의 전개
  1. 쌍접문
  2. 쌍봉문
 Ⅴ. 월요풍 쌍접문·쌍봉문청자의 제작시기
 Ⅵ. 맺음말-월요풍 쌍접문·쌍봉문청자의 도자사적 시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李喜寬 이희관. 前 湖林博物館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