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대 제철로 복원실험 제련 슬래그 분석과 해석 방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nalysis of Smelting Slags Produced Reproduction Experiment of Iron Smelting Furnace and Interpretation Method for the Slags

김수진, 김수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roduced smelting slag through the reproduction of an ancient iron manufacturing technique, with the aim of facilitat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by analyzing the slag components. The research suggests an interpretation method using the ratio of the subcomponents relative to the main slag components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methods. We investigated the component source within the smelting furnace from which the slag is derived by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the tendency between slags. Based on bivariate graph and triangular coordinate data analysis, it was found that a slag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components. The groups were identified as the ore slag group(centered on the ore), and the clay slag group(centered on clay and granite soil).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components derived from the slag, depending on which group they belong to or resemble, as shown in Figure 4~7. It was found tha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atio between the components was more accurate than a simple analysis of the contents, for the interpretation of ancient iron manufacturing processes. This is based on the fact that a higher ratio of TiO2 was detected by the components analysis, and an analysis of all the slag showed that the value of CaO/SiO2 ratio was lower than 0.4, which corresponds to the reproduction experiment condition in which flux was not used.

한국어

본 연구는 고대 제철로 재현실험의 제련 슬래그를 대상으로 성분을 분석하고, 기존의 연구방법 대신 슬래그의 주성분에 대한 다른 성분들의 상대적인 비율을 활용한 해석 방법을 제시하여 슬래그 간의 경향성을 파악함으로써 노(爐) 내에서 슬래그가 기인된 성분 출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분석 데이터를 이변량 및 삼각좌표 비교 분석 그래프로 작성한 결과 기준시료의 주요 성분에 따라 일정한 경향성을 띠며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준시료인 광석을 중심으 로 형성된 광석 슬래그군은 CaO와 TiO2함량이 높았고, 점토와 마사토를 중심으로 형성된 점토 슬래그군은 Al2O3와 SiO2함량이 높았다. 또한 그래프 상에서 군집에 속하지 못하는 경우 어느 군집에 더 근접한가에 따라 슬래그가 기인한 성분의 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광석 및 점토, 첨가제와 제련 슬래그에서 공통적으로 TiO2함량 이 1.6%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모든 슬래그 분석 결과에서 CaO/SiO2값이 0.4 이하로 분석되었다. 복원실험이 철광석 제련이었다는 점과 조업 시 조재제를 첨가하지 않았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슬래그를 해석하는데 있어 단순 함량보다 성분 간 비율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이 더욱 정확한 해석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분석방법
  2.1. 연구 대상
  2.2.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성분분석
  3.2. 성분 간 비율 비교
  3.3. 이변량 비교 분석 그래프
  3.4. 삼각좌표 비교 분석 그래프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수진 Su Jin Kim. (재)겨레문화유산연구원
  • 김수기 Soo Ki Kim. 용인대학교 문화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