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Korean and Indonesian derivative verbs and used contrastive analysis to figure out its morph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 Korean and Indonesian are both agglutinative language and this can be seen in its derivative verbs formation. After making a list of Korean affix and Indonesian affix that produce derivative verbs, the formation process is observed. Then the derivative verbs in both languages are examined morphologically and semantically. It can be said that morphologically, the root and possibility of separation in both derivative verbs is identical. Related to syntactic category, it is found that only suffix that is able to change the root's syntactic category in Korean while prefix, confix and simulfix in Indonesian are also having the function to change root's syntactic category. Othe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can be found in how root and affix combine to form derivative verbs. Both languages allow the combination of several affixes in one root. The combination process is clearly seen in Indonesian while it is possible to have several views in Korean about the combination process of a derivative verb. Related to semantic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in both languages that the meaning of derivative verbs is constructed from the meaning of its root and affix. Only basic meaning of root is reflected in the derivative verb, while contextual meaning is not reflected. Blocking phenomenon can also be seen in both languages.
한국어
본고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파생 동사를 대상으로 삼고 형태적 및 의미적으로 대조하여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는 교착어의 특징을 가지므로 이는 두 언어의 파생어 형성에 반영된다. 국어사전에서 동사 파생 접사로 인정된 것과 인도네시아어 동사 파생 접사를 제시한 후, 그 결합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에 의해 형성된 파생 동사는 형태적 및 의미적으로 대조하여 그 특징을 살폈다. 형태적으로 두 언어에서 그 결합 어근 및 분리 가능성에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단, 통사 범주에 관련해서 한국어의 경우 접미사만 통사 범주를 바꾸는 데 반해 인도네시아어에는 접미사와 불연속접사도 그 기능을 한다. 또 다른 형태적 특징은 어근과 접사의 결합 과정에서 볼 수 있다. 두 언어에서 한 어근에 둘 이상의 접사가 결합할 수 있으나 인도네시아어의 경우는 그 결합 과정은 명확하게 찾아볼 있다. 한편 한국어의 경우는 그 결합 과정이 여러 가지로 분석될 수 있다. 의미적 특징에 관련해서 두 언어에서 파생동사의 의미는 접사와 어근의 의미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으며 어근의 기본 의미만 파생동사 의미에 반영된다. 한편 문맥 의미는 파생동사에 참여하지 않는다. 또한 의미적으로 두 언어에서 저지 현상이 보인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파생 동사
3.1. 접두사에 의한 파생동사
3.2. 접미사에 의한 파생동사
3.3. 불연속접사에 의한 파생동사
4. 파생동사의 형태적 및 의미적 특징
4.1. 형태적 특징
4.2. 의미적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