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산과 주희의 ‘기질(氣質)’ 개념과 그 의미

원문정보

Human Temperament and Moral Practice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asan and Zhu Xi’s Theories

노명수, 정소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oth Zhu Xi and Tasan Jeong Yagyong claim themselves as inheriting Mencian theory of good human nature. However, their definition of human 'nature' differ in contents: one is the moral principle in its fullest sense and the other is mere potentiality for achieving or actualizing goodness. For Zhu Xi, human nature is purely good, but there is still evil in the world due to differences in physical temperament (qi-zhi): those who are endowed with pure and clear temperament will likely to deliver and display their moral nature, while those with murky and turbid temperament will struggle to do the same. From this perspective, Zhu Xi then seems to espouse deterministic moral outlook. On the other hand, Zhu Xi makes it firm that for most people the given temperament is the object of change by Confucian moral cultivation: with enough effort, everyone can recover one's given moral nature. Still, the amount and quality of effort individuals have to put in order to overcome their given temperament cannot but vary, which makes Zhu Xi's moral theory a kind of soft determinism. Tasan, on the contrary, ascertains that inborn temperament has nothing to do with moral practice. Physical temperament may determine one's speech, calculation for profit, or artistic performances, but not moral decision: whether one is Yao, Shun, or a layman, the inner agony and strife as one faces a moral conflict are the same. If one's given condition does affect one's moral decision and practice, then humans can no longer be held responsible for one's action. Just as we cannot define Zhu Xi's moral theory that accepts a certain degree of influence from one's innate condition as determinism or fatalism, we cannot identify Tasan's theory that stresses the free will or free decision of humans in terms of existentialism. For Tasan, humans are not independent existences but beings who try in their own terms and in their own decisions to actualize the Mandate of Heaven. Whether their efforts do work out as they wish and aim still depends on Heaven. On this aspect, Tasan's moral theory is closer to traditional Confucianism which states: "Man proposes, Heaven disposes."

한국어

다산과 주희는 모두 맹자의 성선설을 계승한 유학자임을 자처하지만 그 성이 무엇이냐 에 대해서는 전혀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인간 안에 도덕성이 있음에는 같은 입장이나 그것이 완성태로 있느냐 아니면 가능태로 있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사상이 전개되고 있 다. 주희는 인간의 본성은 온전히 선하나 기질의 청탁여부에 따라 그것을 구현하는 차이가 있다고 한다. 이렇게 보면 주희가 결정론적인 윤리론을 펼치는 것 같으나 유학자에게 있 어 타고난 기질은 수양을 통한 변화의 대상이며, 노력여부에 따라 누구나 본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는 점에서 결정론적인 논의를 피한다. 한편 주어진 기질에 따라 노력해야 하는 양과 질에도 차이가 난다는 점은 주희의 윤리론을 약한 결정론으로 몰고 간다. 다산은 타고난 기질과 윤리적 실천은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음을 분명히 한다. 기질은 언변과 이익을 계산하고 기교를 부리는 데에 국한될 뿐, 요순이나 필부나 도덕적 선택의 순간에는 모두 동일한 조건을 갖는다. 만일 타고난 기질이 도덕 실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면 우리는 더 이상 인간에게 공죄나 책임을 물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기질의 영향을 인정하는 주희의 윤리론을 결정론으로 정의할 수 없듯, 자유 결 정을 강조하는 다산의 윤리론 역시 실존철학의 맥락으로 해명하기 어렵다. 다산의 인간 은 독립적인 실존이라기보다는 천명을 받아 그것을 구현하기 위해 자주적으로 노력하는 인간에 가깝다. 이 자주적 노력 그 자체가 인의예지의 실현이기는 하나, 그것이 온전히 사 회적인 결실을 맺는지는 하늘에 달려 있다는 점에서 실존철학이기 보다는 진인사대천명 (盡人事待天命)으로 압축되는 전통 유학적 도덕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주희의 기질 개념
  1) 기질과 윤리적 실천
  2) 주희의 기질 개념은 결정론인가?
 3. 다산의 기질 개념과 주희의 기질 개념 비판
  1) 다산의 기질 개념
  2) 주희의 기질 개념 비판
 4. 다산 윤리 사상의 독창성
  1) 실존 철학과의 차이
  2) 다산의 천명사상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명수 Noh, Myung-Su. 서강대
  • 정소이 Chung, So-Yi. 서강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