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룡재 백봉래의 경학(經學) 일고(一考) - 『대학』과 『중용』의 관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nsideration of GuRyongJae Baek, Bong Rae(白鳳來)’s Confucianism(經學) - Focusing on relationship between 『DaeHak(大學)』 and 『JungYong(中庸)』 -

문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ddressed the thoughts of Baek, Bong Rae(白鳳來) is a person from 1717~1799 with a Pen Name of GuRyongJae(九龍齋) about Confucianism(經學). In the era of JoSeon YeongJeongJo Dynasty of the 18th century, GuRyongJae Baek, Bong Rae who didn’t have a government position was a scholar in the field who dedicated himself to lifelong learning and worked hard to train the upcoming generation. 『SamKyeongTongEui(三經通義)』 and 『SaSeoTongRi(四書通理)』 are scholastic results he concentrated on 『SaSeoSamKyung(四書三經) and published serially for his lifetime without teachers’ and co-workers’ source of origin(師友淵源). Baek, Bong Rae extracted a few important concepts from complicated system of thought in 『SaSeoTongRi(四書通理)-DaeHak(大學), JungYong(中庸)』, based on them, indicated and systematized correlations between concepts so that the meaning can be grasped simply and clearly. Baek, Bong Rae consid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ungYong』 and 『DaeHak』 become BaeEung(配應), CheYong(體用), JwaWoo(左右), SangHa(上下), Pyo(裏) and Ri(裏), and Ri(裏) and Pyo(裏). In other words, the outside is soon and the inside is soon outside. From these viewpoints, SiJung(時中) of 『JungYong』 and HyeolGu(絜矩) of 『DaeHak』, JiSeon(至善) of 『DaeHak and ChiGok(致曲) of 『JungYong』, of 『DaeHak and of 『JungYong』 were regulated as mutual relations among BaeEung, CheYong and PyoRi and introduced the concept of ‘WonJung(原中)’. ‘WonJungRon(原中論)’ shows 『JungYong』 as ‘JungDo(中道)’ and 『DaeHak』 as ‘GeunWon(根原)’ based on ‘CheonJiIn(天地人) SamJae(三才)’ which means heaven, earth, and person. ‘WonJung’ is another concept referring to 『DaeHak』 and 『JungYong』. In addition, he related 『DaeHak and 『JungYong』 with ‘HaDo(河圖)’ and ‘NakSeo(洛書)’, discussed about the structure with CheYong relations, named 『JungYong』 as considering HaDo as BonChe and NakSeo as JakYong and wrote 『DaeHak』 as considering NakSeo as BonChe and HaDo as JakYong. One of the theories focused on Baek, Bong Rae’s Confucian Classics is the way to interpret with Koae(卦) of 『JuYeok. He interpreted 『JungYong』 and 『DaeHak』 with Koae(卦) of 『JuYeok』 so as to try to show the system of Confucian classic(經書) is correlated with each other. He insisted that ‘Ye(豫)’ of ‘BeomSaYeJeukRip(凡事豫則立)’ in 『JungYong』 and ‘Hang(恒)’ of ‘JaeHangJokEui(財恒足矣)’ in 『DaeHak』 are spirit and action of ‘YeKoae’ and ‘HangKoae’ of 『JuYeok(周易)』, ‘Ye(豫)’ of 『JungYong』 is action of ‘YeKoae’ of 『DaeHak』 and ‘Hang(恒)’ of 『DaeHak』 is action of ‘HangKoae’ of 『JungYong』. Taking all the above into consideration, Baek, Bong Rae sought to have a consistent structure between 『DaeHak』 and 『JungYong』 through ‘YeokRi(易理)’. First, he introduced the concept of ‘WonJung(原中)’ and grafted it onto 『DaeHak』 and 『JungYong』. Second, he grasped the structure as ‘CheYong(體用)’ relations related 『DaeHak』 and 『JungYong』 with HaDo and NakSeo. Third, he applied the theories of ‘YeKoae’ and ‘HangKoae’ of 『JuYeok』 and explained the ‘PyoRi(表裏)’ relations of 『DaeHak』 and 『JungYong』. Those three things can be his creative logical system that cannot be found previously in the history of Joseon Confusion history and it is an important feature of Baek, Bong Rae’s Confucianism(經學).

한국어

이 연구는 구룡재(九龍齋) 백봉래(白鳳來, 1717~1799)의 경학사상에 관한 연구이다. 18세기 영정조 시대에 활동한 구룡재 백봉래는 평생 학문에 전념하며 후생을 양성한 재 야학자이다. 특히 『삼경통의(三經通義)』와 『사서통리(四書通理)』는 그가 사우(師友)의 연원이 없이 사서삼경(四書三經)에 몰두하여 일생동안 연찬한 학문적 결과물이다. 백봉래는 『사서통리-대학, 중용』에서 복잡한 사상 체계를 몇 개의 중요한 개념들을 추 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개념과 개념의 상호관계를 나타내고 조직화하여 간략하면서도 분명하게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백봉래는 『중용』과 『대학』의 관계가 배응(配應), 체용(體用), 좌우(左右), 상하(上下)가 되어 표(表)이면서 리(裏)이고 리이면서 표가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중용』의 시중(時中)과 『대학』의 혈구(絜矩), 『대학』의 지선(至善)과 『중용』의 치곡((致曲), 『대학』의 <기욱장(淇澳章)>과 『중용』의 <연어장(鳶魚章)>을 서로 배응과 체용, 표리의 관계 로 규정하고 설명하면서 ‘원중(原中)’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가 말하는 원중론(原 中論)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바탕으로 한 근원(根原)으로서의 『대학』과 중도 (中道)로써의 『중용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대학』과 『중용』을 지칭하는 또 다른 개 념으로 원중을 사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학과 『중용을 하도(河圖)와 낙서 (洛書)에 연관지어 그 구조를 체용관계로 논하면서 하도를 본체로 삼고 낙서를 작용으로 삼는 뜻으로 『중용』을 지었고, 낙서를 본체로 삼고, 하도를 작용으로 삼는 뜻으로 『대학』을 저술한 것이라 했다. 백봉래의 경학론에서 주목되는 논리 가운데 하나가 『주역』의 괘(卦)를 이용한 해석 방 식이다. 그가 『중용』과 『대학』의 해석에 『주역』의 괘를 이용하여 풀이한 것은 경서(經 書)의 체계가 서로 상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 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용』의 ‘범사예즉립(凡事豫則立)’의 ‘예(豫)’자와 『대학』의 ‘재항족의(財恒足矣)’의 ‘항 (恒)’자가 『주역』 예괘와 항괘의 정신과 작용으로 『중용』의 ‘예(豫)’자는 『대학이 예괘 의 작용이 되고, 『대학』의 ‘항(恒)’자는 『중용』이 항괘의 작용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보 면, 역리(易理)를 통하여 『대학』과 『중용』의 관계를 일관(一貫)된 구 조로 회통하고자 한 백봉래는 첫째, 원중(原中)의 개념을 도입하여 『대학』과 『중용』에 접목시켰으며, 둘째, 『대학』과 『중용을 하도와 낙서에 연관지어 그 구조를 체용(體用) 관계로 파악하였다. 셋째, 『주역』의 예괘와 항괘의 원리를 적용하여 『대학과 『중용의 표리(表裏) 관계를 설명하였다. 이 세 가지는 조선조 유학사에 유례(類例)를 찾아볼 수 없 는 그만의 독창적인 논리체계이며, 백봉래 경학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대학』과『중용』의 구조
 3. 『대학』과 『중용』의 관계
  1) 원중론(原中論)을 통한 『중용』과 『대학』의 배응(配應)
  2) 하도낙서(河圖洛書)와 『대학』과 『중용』의 체용
  3) 「豫卦」 「恒卦」와 『중용』『대학』의 표리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창호 Moon, Chang-Ho. 충남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