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역위(易緯)』「통괘험(通卦驗)」의 성립시기와 괘기설(卦氣說)

원문정보

The formative Period and Qua Qi Theory of 『Yi Wei(易緯)』「Tong Gua Yan(通卦驗)」

방인, 석미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the advanced theory of Qua Qi and the formative period of Tong Gua Yan (通卦驗) in Yi Wei (易緯),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presentative Meng Xi (孟喜) and Jing Fang (京房) of numberolog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ach chapter could have been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before called for Yi Wei (易緯),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possibilities of Tong Gua Yan (通卦驗)’s first and the second books being written in the early part of the Western Han Dynasty. Also, Tong Gua Yan (通卦驗)’s Qua Qi as the fruit of astronomy and Changes (易), advanced studies in the Western Han Dynasty, along with next to Ji Lan Tu (稽覽圖) a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book in Yi Wei (易緯)’s Qua Qi and fortunetelling. Tong Gua Yan (通卦驗) consists of the four hexagrams (四正卦), and the eight trigrams(八卦)’ Qua Qi theory where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and the perspective about eight trigrams and the eight Solar Terms in the second book of the Tong Gua Yan (通卦驗) are commonly found from the early books of the Western Han Dynasty. Therefore, the predominant academic view that the eight trigrams’ Qua Qi theory was developed and inherited from the Meng Xi (孟喜) and Jing Fang (京房)’s numberology is doubtful, rather the author’s view is that Meng Xi (孟喜) has inherited the four hexagrams theory of the Tong Gua Yan (通卦驗). Finally, the eight trigrams in Tong Gua Yan (通卦驗)’s second book are connected to the Nine Palaces’ Qua Qi theory (九宮卦氣說), which again raises a question about Zheng Xuan(鄭玄)’s interpretation of it into the twelve waning and waxing hexagrams (12消息卦).

한국어

본고는 역위(易緯)「통괘험(通卦驗)」을 중심으로 하여 그 성립시기와 괘기설의 구체 적인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서한(西漢) 상수역의 대표자인 맹희(孟喜)·경방(京房)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우선 필자는 역위(易緯)의 각 편들이 서한 시대에 이 미 산재(散在)해 있었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서 「통괘험」의 상·하권이 서한 초기에 쓰여 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통괘험」의 괘기설은 서한 초 기의 발달된 천문과학과 역(易)이 결합된 산물로써, 역위(易緯)「계람도(稽覽圖)」와 더불어 역위의 괘기설 및 점술에서 가장 중요한 문헌으로 손꼽힌다. 「통괘험」에는 주 로 사정괘(四正卦)와 팔풍(八風)·팔괘괘기설(八卦卦氣說) 등이 등장하는데, 특히 「통괘 험」 하권에 나오는 팔풍과 여덟 절기에 대한 전통적 이해방식은 서한 초기 문헌과 출토문 헌 등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로써 그동안 역위의 팔풍과 팔괘괘기설 등이 맹‧ 경의 역학을 계승‧발전시킨 것이라는 관점은 의심될 수밖에 없다. 필자는 오히려 맹희가 「통괘험」의 사정괘설을 계승하고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통괘험」 하권의 팔괘괘기설 을 정현이 12소식괘로 주석한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이것이 바로 구궁괘기설과 연 결되고 있음을 설명할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역위(易緯)』「통괘험(通卦驗)」의 성립 시기
 3. 『역위(易緯)』「통괘험(通卦驗)」의 괘기설
  1) 사정괘와 팔풍
  2) 팔괘괘기설
  3) 구궁괘기설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방인 Bang, In. 경북대
  • 석미현 Seok, Mi-Hyun. 경북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