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족주의적 한국유학사 서술의 재조명 -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considering nationalistic describing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 focus on Hyeon, Sang-Yun's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정성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朝鮮儒學史』) of Hyeon Sang Yoon is the the most authentic version which describes Korean contemporary Confucianism based on national view of history. He was a historian rather than a Confucian schola even though he was born in the family of Confucian schola and studied Confucianism since childhood, He studied history in the university and was an intellectual who learned modern sci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days. Hyeon Sang Yoon revealed his view of history clearly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I thought that his view of Confucianism was based on nationalism, and as the method for this he criticized china worship(慕華思想), and he emphasized the style of ‘chunchupilbeob’(春秋筆法- the method of describing Chunchu of Kong zi), the origina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As Jang Ji Yeon accepted the theory of origin of Kija(箕子) in The origin of Confucianism of Chosun (『朝鮮儒敎淵源』) Korean scholars considered the Confucianism of Chosun was originated from Kija(箕子). But Hyeon Sang Yoon denied the theory of origin of Kija(箕 子), he criticized that china worship(慕華思想) put our independent spirit to death.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made a related chapter about china worship(慕華思想) and described it′s origin, representative persons, ideological influences. Such statements were based on national consciousness against China. In the same vein he described ‘wijong- cheoksa’(衛正斥邪) movement seriously, but he did not referred any scholars who insisted enlightenment movement at that times. Adopting the style of ‘chunchupilbeob’(春秋筆法)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evaluated scholars and their thoughts. Standard of the evaluation was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and utility. It was an unexpected style of description in comparison with being influenced by historical positivism during his university years. His method of descrip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History of Confucianism of Korea of Lee Byeong Do who studied together in Waseda university at the same period. Lee Byeong Do was influenced by Ranke who asserted historical fact. In this aspect he obviously stood in contrast with the historical view of Hyeon Sang Yoon. Hyeon Sang Yoon described that Jeong Do Jeon(鄭道傳), Kweon Kun(權近) and the other Confucian scholars of Koryeo dynasty did not keep fidelity to their principle as the Confucian scholars of Koryeo dynasty. Moreover he described ‘sayuksin’(死六臣), ‘saengyuksin’(生六臣), ‘kongsin’(功臣) from the viewpoint of retainer's fidelity. He emphasized uti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as the origina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mentioned ‘ultimate governing ideology(至治主義)’ of Cho Kwang Cho(趙光 祖) and practical science of Chosun which represent the uti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of Hyeon Sang Yoon was a result of history of national Confucianism which continued to Paidongyeonwanrok(『浿東淵源錄』) of Song Byeong Seon, Joseonyukyoyeonwon(『朝鮮儒敎淵源』) of Jang Ji Yeon, Dongyuhakan(『東儒學案』) of Ha Kyeom Jin, and besides, it is a foundation describ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for the future.

한국어

현상윤은 유학자의 집안에 나서 어린 시절에 유학을 습득하였지만 10대 후반기부터 식 민지 근대교육을 받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대학교육까지 마치면서 유교망국론적 식민사 관의 영향을 그대로 받은 인물이다. 그러나 40대 이후에는 유학에 대한 시각에 변화가 오면서 유학의 긍정적 측면을 조명하는 글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이후 해방을 맞이하고 또 다른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현상윤은 『조선유학사』를 편찬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나온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는 조선 말기부터 있어온 민족주의적 유학사 서술의 마무리이자 이후 현대 유학계의 유학사 서술의 새 장을 여는 서막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유학사』의 바탕을 흐르는 유학사관이 민족주의라면 그것을 서술하는 방편은 모 화사상 비판과 춘추필법적 서술방식이었다. 모화사상은 현상윤이 조선유학의 ‘죄’로 들 고 있는 여덟 가지 중에 가장 먼저 들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현상윤은 모화사상을 비판하 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척사위정운동을 평가하고 있다. 즉 모화사상 비판이 중국에 대한 민족주의를 천명하는 것이라면 척사위정운동을 국권 옹호와 인륜도덕을 지켜내는 방파 제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보는 것은 일본과 서양 세력에 대한 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다. 현상윤은 또 인물이나 사상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정하고 거기에 따라 포폄을 가하고 있다. 그 기준은 ‘절의’와 ‘실천’이다. 이것을 기준으로 정도전이나 권근 등 고려말에서 조 선 초기에 걸쳐 활동한 인물들에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조선초기의 유학에서 절의문제 를 정식으로 제기하여 사육신과 생육신, 공신의 문제를 언급한다. 조선 말기의 척사위정 운동에 대해서도 춘추대의의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 현상윤은 ‘실천’을 또 다른 기준으 로 제시하는데, 조선 초기의 지치주의를 유학사상의 정치적 실천으로 보고 있다. 실천성 에 대한 중시는 조선 후기의 경제학파에 대한 서술에서도 두드러진다. 『조선유학사』의 이러한 민족주의적 서술은 현상윤이 조선 유학의 독자성을 인정하였기 때문에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현상윤의 민족주의적 유학사 서술은 격변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신적·문화적 주체성을 잃지 않고자 하는 지식인의 시대적 요구에 대한 부응이라고 할 수 있겠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 한국 유학사 서술의 개관
 2. 현상윤의 학문적 이력
 3.『조선유학사』서술의 민족주의적 성격
  1) 모화사상(慕華思想) 비판
  2) 춘추필법적 서술방식
  3) 실천성의 중시와 조선 유학의 독자성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성희 Jeong, Seong-Hee. 성균관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