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훈민정음 해례』에 반영된 성리학의 영향 - 태극ㆍ음양ㆍ오행ㆍ삼재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nfluences of Neo-Confucianism and I-Ching Studies on the Commentaries and The Examples of Hunminjeongeum

곽신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uthors of the Commentaries and the Examples of Hunminjeongeum tried to persuade scholars to accept principles of Korean alphabet. They used the concepts of Neo-Confucianism and I-Ching Studies. Neo-Confucian theories that we can see in that book were the theories of Taiji, Yin and yang, Wu-xing, and Santzai. In addition to these, there are some words and phrases in it from the Book of I-Ching. Almost of them are derived in The Diagram and Explanation of Taiji written by Chou-tunii and Supreme standard and Management of the World written by Shao-wong. Authors of the Commentaries recognized the Taiji as that of chi-oriented approach school because of treating the man’s voice. We could meet many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words in that book because they were not used ever. They had creative mind to apply the Santzai[三才] to making the Korean alphabet. · ㅡl which constitutes the core elements of middle sounds stand each that round heaven, even earth and erect human being. And they explained that the main principle of the Hunminjeongeum is to venerate images and shape of voice organon which was the one of four methods to use the I-Ching, and they made the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correct sounds.

한국어

『훈민정음 해례』의 저자는 정음의 원리나 구성이 성리학이나 역학의 이론체계와 부합 하는 것을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그 의도는 당시 중국측이나 지식인들을 설득하려는 것 이었다. 『해례』에 보이는 성리학적 이론들은 태극음양론, 오행론, 삼재론, 그리고 『주역』을 비롯한 유교 경전에서 나타나고 구성된 것들이다. 대부분의 이론을 『태극도설』과 『황극경세서』에서 취하고 있다. 기론적 정향을 보이는 것은 성음(聲音)을 다루는 것이기 때문인 듯하다. 발성기관인 아설순치후를 오행에 적용하여 설명함에 이전에 보이지 않는 용어들을 사용함으로써 다소 이해의 어려움을 낳기도 하였다. · ㅡ l를 천원(天圓) 지평 (地平) 인립(人立)의 상(象)으로 삼아 중성(中聲)의 구조와 역할을 해명하는 것은 삼재에 대한 깊은 이해와 더불어 성인의 역할이라 하는 ‘상상(尙象)의 제기(製器)’에 있어 매우 탁월한 사례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성리학에 대한 세종시대의 이해
 2. 『해례』에 반영된 태극·음양론
  1) “天地之道, 一陰陽五行而已”.<1a>
  2) “坤復之間爲太極”<1a>
  3) “今正音之作, 初非智營而力索, 但因其聲音而極其理而已” <1a_7-1b_1>
  4) “理旣不二, 則何得不與天地鬼神同其用也”<1b_2>
  5) “以初中終合成之字言之, 亦有動靜互根陰陽交變之義焉”.<8a_3> “三極之義, 二氣之妙, 莫不該括” <27b_7-28a_1>
  6) “ㆍ之貫於八聲者, 猶陽之統陰而周流萬物也”.<6a_5> “終聲之復用初聲者, 以其動而陽者乾也, 靜而陰者亦乾也, 乾實分陰陽而無不君宰也”<8b_6>
 3. 『해례』에 반영된 오행론
  1) “夫人之有聲本於五行”<2a_3>
  2) “中聲者, 一深一淺一闔一闢, 是則陰陽分而五行之氣具焉, 天之用也”.<7b_5>“初聲者, 或虛或實或颺或滯或重若輕, 是則剛柔著而五行之質成焉, 地之功也.”<7b_6>
  3) “故合諸四時而不悖, 叶之五音而不戾”<2a_4>
  4) “喉邃而潤, 水也.”<2a_5> “聲虛而通, 如水之虛明而流通也”.<2a_6> “於時爲冬,於音爲羽”<2a_7>
  5) “然水乃生物之源, 火乃成物之用, 故五行之中, 水火爲大”.<3a_2> “水火未離乎氣, 陰陽交合之初, 故闔”.<7a_4> “木金陰陽之定質, 故闢”.<7a_5>
  6) “是則初聲之中, 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3a_7> “是則中聲之中, 亦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7a_9-7b_1>
 4. 『해례』에 반영된 삼재론
  1) “ㆍ舌縮而聲深, 天開於子也. 形之圓, 象乎天也”.<4b_5> “ㅡ舌小縮而聲不深不淺, 地闢於丑也. 形之平, 象乎地也.”<4b_6> “ㅣ舌不縮而聲淺, 人生於寅也. 形之立, 象乎人也.”<4b_7-5a_1> “此下八聲, 一闔一闢.
  2) “動者, 天也”.<8a_4> “靜者, 地也”.<8a_5> “兼乎動靜者, 人也”.<8a_6> “盖五行在天則神之運也. 在地則質之成也, 在人則仁禮信義智神之運也, 肝心脾肺腎質之成也”.<8a_7>
  3) “以人爲萬物之靈而能參兩儀也”.<6a_6>
  4) “盖字韻之要, 在於中聲, 初終合而成音”.<8b_4> “亦猶天地生成萬物, 而其財成輔相則必賴乎人也”.<8b_5> “韻成要在中聲用人能輔相天地宜”<14a_2> “亦可見人之參贊開物而無所不通也”.<16b_6-17a_1>
  5) “陰陽, 天道也. 剛柔, 地道也”<7b_3-7b_4>
  6) “ㅣ獨無位數者, 盖以人則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固未可以定位成數論也”<7a_8>
 5. 『해례』에 반영된 그밖의 성리학과 역학의 개념들
  1) ‘상기상(尙其象)’의 원칙
  2) 정이부원(貞而復元), 동이부춘(冬而復春) 의 순환불이 사상
  3) 심오한 이치의 지극한 탐구
  4) 개물성무(開物成務)
  5) 손 빌리기
 6.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곽신환 Kwak, Shin-Hwan. 숭실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