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Model for Consumer Trust-Anxiety-Competency by Source of Information - Focused on Chemical Household Products -

원문정보

정보제공원별 소비자의 신뢰-불안-역량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 생활화학가정용품을 중심으로 -

Kil Hong Kim, Hyun Jung Yoo, Eugene So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nsumer trust and knowledge on consumer attitude, anxiety and function, depending on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risks from chemical household produc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media delivering the risk information on chemical household products, consumer’ trust level was found the highest in expert groups, followed by internet cafe/blogs, presses/broadcasts and government agencies. Second, according to the path coefficients and the regression coefficient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of the consumer trust-anxiety-competency model for each of the information sources, only press/broadcas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 anxiety among the four sources of risk information on chemical household products.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reduce consumer anxiety and to strengthen consumer competency.

한국어

2013년 7월 9일 이후 생활화학가정용품 8개 품목이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지정⋅ 관리되고 있으나, 이외 품목들은 관리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별도의 안전 확인 절차나 사용 상 주의사항 표시 없이 유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화학가정용품의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제 공원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와 불안이 소비자 스스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역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제공원별 생활화학가정용품의 위험전 달에 대한 소비자신뢰를 살펴본 결과, 전문가집단은 평균 3.20, 인터넷카페⋅블로그는 평균 3.12, 신문⋅방송(언론)은 평균 2.92, 정부기관은 평균 2.80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제공원별 구분된 네 가지 소비자신뢰-불안-역량 모델에 대한 경로계수와 선행변수가 후행변수에 갖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면 신문⋅방송(언론)에 대한 소비자신뢰-불안-역량 모델에서만 유일하게 소비자불안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신문⋅방송(언론)에 대한 소비자신뢰를 높여 소비자불안을 낮추고 소비자태도 및 소비자기능을 강화할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정보제공원에 대한 신뢰
  2. 소비자불안
  3. 소비자역량
  4. 소비자신뢰-불안-역량간의 관계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 조사대상자 및 조사방법
  3. 척도의 구성
  4. 조사대상자의 특성
 Ⅳ. 연구결과
  1. 정보제공원 속성별 소비자신뢰
  2. 정부기관에 대한 소비자신뢰-불안-역량 모델 검증
  3. 신문⋅방송(언론)에 대한 소비자신뢰-불안-역량모델 검증
  4. 전문가집단에 대한 소비자신뢰-불안-역량 모델 검증
  5. 인터넷카페⋅블로그에 대한 소비자신뢰-불안-역량모델 검증
  6. 정보제공원별 소비자신뢰-불안-역량 모델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Kil Hong Kim New Media Team, Consumer Television, Digital-ro 34, Guro-gu, Seoul, Korea
  • Hyun Jung Yoo Department of Consumer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Eugene Song Consumer Analysis Cente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