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원문정보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임영명, 이지용, 조성준, 안예슬, 유두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remote rehabilitation on stroke patients systematically and to look for its effect and how to apply it domestically. Methods : In order to search data, EMBASE and CINAHL database were used. Relevant research used those terms of virtual reality, telerehabilitation, and stroke. A total of 10 studies satisfying the selection criteri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ir qualitative level,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ICO method. Results : Based on the selected 10 studies,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system was applied. Sensory and motor feedback was provided with inputting visual and auditory senses through a video in the home environment, and it stimulated changes in the client’s nervous system. Tools to measure the results were upper extremity function, balance and gait, activities of daily living, etc. Those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method had an effect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bility of sense of balance in all studies, and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rtially. Telerehabilitation service to make up environmental specificity improved satisfaction of client. That meaned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to maintain the function. Conclusion : The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system was applied to upper extremity function, sense of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largely , and it showed that it helped to improve functions through intervention, supervision, and training of therapist in the home environment as well. This study suggests the basis and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on virtual-reality based telerehabilitation.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iverse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methods and the effect of telerehabilitation in the future.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 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효과와 국내 적용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료의 검색을 위해 EMBASE, CINAHL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주요 용어는 “Virtual Reality”, “Telerehabilitation”, “Stroke”으로 관련 연구를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수준, 일반적 특성, PICO를 사용하여 연구 주제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7편의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으로 한 원격재활 시스템으로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가상현실은 게임 프로그 램과 수동적인 팔 보조 그리고 Balance Trainer등을 활용하여 원격재활 중재를 실시하였다. 주된 결과 측정도구는 상지기능, 균형 및 보행, 일상생활 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가 사용되었다.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중재방법은 모든 연구에서 상지기능, 균형감각능력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일상생활 활동에서의 부분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환경적 특이성을 보완하기 위한 원격재활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기능의 유지를 위한 중재법 으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시스템은 대부분 상지기능과 균형감각,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중재가 적용되었으며, 가정환경에서도 치료사의 중재, 감독, 교육 등을 통해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가상현실의 중재 방법과 원격재활을 활용한 재활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자료 수집
  3. 대상 연구의 근거 질적 수준
  4. 비뚤림 위험 평가
  5. 자료 추출 근거제시 방법
 Ⅲ. 연구 결과
  1.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2. 비뚤림 위험 평가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원격재활 적용 형태
  4. 중재 방법 및 내용
  5. 중재 효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Abstract

저자정보

  • 임영명 Lim, Young-Myoung.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이지용 Lee ji-Yong.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조성준 Jo, Seong-Jun.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안예슬 Ahn Ye-Seul.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유두한 Yoo, Doo-Han.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