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웨덴 발렌베리 기업들의 소유지배구조와 한국에서 발렌베리 사례의 수용방식

원문정보

The Ownership Relations and Corporate Governance of the Wallenberg Companies in Sweden and the Way the Wallenberg Case Has Been Interpreted in South Korea

신정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allenberg family, the biggest capitalist family in Sweden has controlled many companies in industrial and financial sectors for five generations. And it has had controlling power much stronger than its stock portion. In a sense, it seems that the family has maintained the ownership relations and corporate governance similar to those of the Korean Chaebols. Paying attention to this, some Korean researchers and Korean mass media used the case of the Wallenberg family for maintaining that the Korean society should respect the Chaebol system and support the succession of management right of Chaebol companies to third generation of Chaebol families. But there are not only similarities but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Wallenberg family and the Korean Chaebol families. What made possible for the Wallenberg family to have controlling power much stronger than its stock portion were the dual class shares and the pyramid-like ownership relations. The latter means that the public utility foundations established by the family members own the investment company, Investor AB, and Investor AB in turn as a holding company owns many companies. Moreover, the excellent management capability and practice of noblesse oblige of the family, and the bank-centered Swedish financial system were also important factors. And the Wallenberg family has exercised controlling power under the condition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Korean Chaebols, high level independence of the family companies, transparence of management, work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for example. And there were political conditions including the hegemony of the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and the existence of very strong trade unions, which made it possible to check the possibility of misuse of the power of big capitalist families. Thus, it seems more desirable that the case of the Wallenberg family be ‘consumed’ in Korea for understanding what kind of conditions should be satisfied for allowing the Chaebol families to exercise controlling power much stronger than their stock portions, rather than for arguing for protecting the management right of Chaebol families and supporting the succession of management right to third generation of Chaebol families.

한국어

스웨덴의 최대 자본가 가문인 발렌베리(Wallenberg) 가문은 산업과 금융 부문의 많은 기업들에 대해 5대째 안정적으로 지배력을 행사해왔다. 그리고 소유지분에 비해 한결 더 큰 지배력을 행사해왔다. 일견 한국의 재벌체제와 유사한 소유지배구조를 유지해온 것이다. 이 점에 주목하여 한국의 일부 연구자들과 언론은 발렌베리 가문의 사례를 재벌체제를 존중하고 재벌 3세로의 경영권 승계를 사회가 지원해주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데 활용해왔다. 그러나 발렌베리 가문과 한국의 재벌가문들 간에는 유사점 못지않게 차이점도 크다. 발렌베리 가문이 소유지분에 비해 한결 더 큰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것은 차등의결권 주식제도와 가문이 설립한 공익재단들이 투자회사인 인베스토르(Investor AB)를 집중적으로 소유하고, 인베스토르가 지주회사로서 많은 기업들을 소유하는 피라미드형 소유지배구조에 기인했다. 또 발렌베리 가문의 우수한 경영능력과 노블레스 오블리쥬의 실천, 은행 중심의 스웨덴 금융제도 등에도 기인했다. 또 산하 기업들의 높은 수준의 독립성, 기업 경영의 투명성, 노동자 경영참가제도 등 한국의 재벌기업들과는 사뭇 다른 조건 하에서 지배력을 행사해왔다. 또 사민당의 장기 집권과 강력한 노동조합의 존재 등 거대 자본가 가문의 권력 남용을 견제할 수 있는 정치적 조건도 있었다. 한국에서 발렌베리 가문의 사례는 재벌가문들의 경영권을 보호하고 3세로의 경영권 승계를 지원하자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활용될 것이 아니라 재벌가문들이 소유지분에 비해 한결 더 큰 지배력을 행사하는 것이 용인되려면 어떤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하는가의 관점에서 소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발렌베리 가문의 역사
 3. 발렌베리 가문 소유 기업들의 소유지배구조
  3.1 피라미드형 소유지배구조와 차등의결권 주식제도
  3.2 이사회 구성과 노동자 경영참가제도
 4. 발렌베리 가문 기업들과 한국 재벌기업들의 유사점과 차이점
 5. 한국에서 발렌베리 가문 사례 수용방식의 문제점
 6.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정완 Shin, Jeongwan.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