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Euigyeong (意境)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expressing one’s intention (言志說) and evolved into perceiving the special function of “images(象)” through the proposition ipsang jinui (立象盡意) referring to conveying mean ing with images. This concept of images has been widely adopted by literary persons through the term “euisang(意象)” and the term “euigyeong” along with “gyeong(境)” and “gyeonggye(境界)”. Euigyeong can be defined with multipronged concepts. The first concept is the image of an artist’s intention or an aesthetic image that is come up with through a fusion of emotion with a real scene in the process of conceiving creation. The subject of euigyeong in this definition is the artist. The second concept refers to an artistic image representing an artist’s intention. The subject of euigyeong in this definition is the artwork itself. As these two concepts of euigyeong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euisang ,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 between images(象) as the underlying characteristic of euigyeong and images beyond images(象外之象) or the outside of images. If some finite images in a work of art lead viewers to a world of imagina tion or arouse some mood or atmosphere, we can say that this work has molded euigyeong . The third concept of euigyeong may be associated with any forging of imaginary space generating a mood or atmosphere. An appreciator’s accurate perception is required to grasp this third concept of euigyeong since it is merely an inner connotation without any firsthand representation of artistic images. That is, the appreciator has to be able to enter an imaginary space and feel the mood or atmosphere through finite artistic images. Accordingly, the subject of euigyeong in this third definition is the appreciator. In the I Chingor Classic of Change seight hexagrams refer to eight basic things. All things in the universe can be represented with 64 hexagrams and 384 trigrams evolved from these eight hexagrams. To arrange this again, the eight hexagrams can be divided into the two trigrams of yin and yang. Potent yang and gentle yin are the two most fundamental types of euigyeong : All euigyeong is derived from these two types. Liu Xie in his book The Literary Mind and the Carving of Dragon (文心雕 龍) classified the grades of poetry into eight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m, the first and second traits are “refinement” and “profundity” while the first and second traits Sikong Tu classified in his book Twenty-Four Grades of Poetry (二十四詩品)are “sublimity” and “modesty.” The former is an overriding ideal of Confucianism while the latter is the crowning ideal of Taoism. Those respecting Confucianism have always regarded the beauty of refinement, sublimity and potent yang as best while those revering Taoism have highly appreciated the beauty of modesty, profundity, and gentle yin. The difference of euigyeong in Confucianism and Taoism can be distinguished by nongdam (濃淡) and sinil (神逸). The “nong(濃)” referring to “beautifully colored or engraved beauty” and the “dam(淡)” meaning “the beauty of lotus flowers flourishing in water” are the concepts to discuss the boundaries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in terms of “gyeong” of “euigyeong.” The concepts such as “sin(神)” and “il(逸)” can be adopted to discuss the matter of an ideal border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in terms of “eui” of “euigyeong.”
한국어
의경은 ‘言志說’에서 출현하여 『易傳』의 ‘入象眞意’란 명제를 통해 ‘象’의 특수한 기능을 인식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 개념은 문학 예술가들에 의해 ‘意象’이라는 단어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唐代에는 ‘의상’ 외에도 ‘境’ 또는 ‘境界’를 비롯해서 ‘의경’이 비평용어로서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다. 의경은 여러 가지 층위의 개념을 지니고 있는데, 1차적 개념은 작가가 창작구상 중에 情景交融을 통해 떠올리는 의중의 형상, 곧 審美意象으로서 이때의 의경의 존재 층위는 작가이다. 2차적 개념은 작가 의중의 형상을 표현한 예술형상을 의미하는데, 이때의 의경의 존재 층위는 작품 자체이다. 의경의 이 두 가지 개념은 전통적인 의상의 개념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의경의 본질적인 특징으로서 ‘상’과 ‘象外之象’의 관계에 주목해야한다. 작품 속에 창조된 유한한 예술형상이 상상의 세계로 이끌고 나아가 어떤 정취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면 의경을생성하였다고 말할 수 있는데, 상상의 공간 구축과 정취 및 분위기의 창조가 곧의경의 제3차적인 개념이다. 그런데 이 제3차적인 개념은 예술형상으로 직접 표현되지 않은, 이면에 내포된 함의이기 때문에 감상자의 정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감상자는 유한한 예술형상을 통해 상상의 공간으로 진입해야 하며 정취와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3차적인 개념의 의경 층위는 감상자라고 해야 할 것이다. 『周易』은 八卦로 8개의 기본적인 사물을 대표한다. 우주 만물은 바로 이 8개의 기본 유형이 진화 발전한 것으로 팔괘가 64卦, 384爻로 진화함으로서 우주만물을 상징하게 된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팔괘는 음과 양의 두 효로 나룰 수 있는데, 陽剛과 陰柔는 가장 기본적인 의경 유형으로 모든 의경은 이 두 가지로 귀납할 수 있다. 劉勰은 『文心雕龍』에서 詩品을 ‘八體’로 나누었는데 첫째, 둘째자리를 차지한 것은 ‘典雅’과 ‘遠奧’이고, 司空圖의 『二十四詩品』 중 첫째, 둘째 자리를 차지한 것은 ‘雄渾’과 ‘沖淡’으로 이 두 쌍 중 한 쪽은 유가의 최고 이상이고, 다른 한 쪽은 도가의 최고 이상이다. 유가를 숭상한 사람은 언제나 전아· 웅혼의 양강의 미를 으뜸으로 여겼고, 도가를 숭상한 사람은 충담·원오의 음유의미를 높이 평가하였다. 이런 유가와 도가의 의경의 차이는 다시 ‘농담’과 ‘신일’로 구분할 수 있다. ‘아름답게 채색하고 아로새긴 아름다움[錯彩鏤金]’인 ‘濃’과 ‘물에 핀 연꽃의 아름다움[出水芙蓉]’인 ‘淡’은 의경의 ‘경’에 착안하여 전체적 경계를 논한 것이다. 의경의 ‘의’에 착안할 경우에는 유가와 도가의 이상적 경계 문제가 神·逸 논쟁으로 표현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意境
1. 의경의 출현 배경 및 발전방향
1) 言
2) 象
3) 境
2. 의경의 세 층위
1) 審美意象
2) 藝術形象
3) 象外之象
3. 의경의 유형
Ⅲ. 濃淡과 神逸
Ⅳ.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