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아시아 고대 유교문헌과 강증산 전승의 술 문화

원문정보

Role and meaning of liquor shown in Confucius books and the story of Kang Jeung-san

고남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om old times, liquor was used for a sacred meaning. The Chinese word 酒 meaning liquor generally indicates a ceremony that serves liquor to ancestors and has close connection with religion. Many people of different nationalities have made their own food culture and among them is liquor that takes an significant part of it. In East Asia religious culture, liquors shown in relation to gods are mostly used for ritual ceremonies. Liquor is used for ritual because of its mysterious attributes. In the book 『Jugo』, which was written to warn people about liquor, says the liquor was made to be used for major ceremonies to serve the heavenly order. For humans, liquor can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personal selfcultivation. In human society, although liquor is used for making harmony between members, it has a meaning and role for self-cultivation. In regard with this, a politician needs a self-disciplined attitude for liquor. The political leader has a great responsibility for liquor and therefore has to be the example in keeping a self disciplined manner with a well balanced virtue when drinking, and based on this practice, he has to successfully lead all the executives. In addition, one’s drinking manner becomes greatly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ng his virtue. Religious culture of Kang Jeung-san is shown through 「Cheonjigonsa(Reord ering of the Universe, 1901-1909)」, the religious work that Jeung-san carried out for nine years. Most of the works of Cheonjigongsa are performed in the form of rituals. For His religious work, foods were prepared and ritual practice was performed to bring certain gods who could accomplish His intended purpose. Here the liquor was served to gods to communicate and solve problems with them. As liquor was used to treat gods in the religious culture called Cheonjigongsa, it also became an important food for human beings. In the religious culture of Kang Jeung-san that was born in Korea during early 20th century, liquor takes an important position as the food for treating gods. This culture corresponds with the existing religious culture where liquor is used for rituals. Along with this, liquor is closely related to humans’ daily life as they put emphasis on the morality of one’s drinking manner.

한국어

술은 예로부터 신성한 의미로 사용되어졌다. 술을 뜻하는 ‘酒’자는 일반적으로술을 올려 드리는 제사를 의미하며, 종교문화와의 관계는 긴밀하다. 세계 수 많은민족들은 오랜 세월 동안 음식 문화를 자체적으로 만들어 왔고 그 가운데 술 문화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동아시아 종교문화에서 신과 관련해서 술을 보면 무엇보다도 그것은 祭儀와 연관된 면으로 나타난다. 제례에서 술이 사용되는이유는 술의 신비한 속성에 기인한다. 인간들에게 술에 대해서 크게 경계하기 위해서 쓰여진 「주고」의 글에서 술은 하늘의 명으로 큰 제사에 사용하고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인간과 관련해서 술은 개인수양과 밀접하다. 술은 구성원간의 화합을 이루는 것이지만 여기에는 개인수양을 전제로 하는 술의 의미와 역할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개인수양과 관련해서 보면 정치 지도자의술에 대한 경계가 중요하게 대두된다. 술에 대한 위정자의 책임이 큰 것이며, 결국스스로 中正한 德으로 음주에 임하여 모범을 보이고 이를 토대로 관리들을 잘 통솔해야한다는 것이 된다. 아울러 개인 수양의 관점에서 음주가 개인의 덕을 평가하는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강증산의 종교문화는 증산이 9년간 보여 주었던 종교적 행적인 「천지공사(1901-1909)」로서 표출되었으며, 이 「천지공사」는 대부분이 祭儀的 형태를 갖고있다. 자신의 종교적 행적에 관련된 신을 降神해서 의도한 목적을 이루어 나가는데 음식을 준비하고 의례적 행위를 하였는데 신을 대접하고 문제를 풀기위해 소통하는 의미로 술이 사용되어졌다. 증산의 천지공사라는 종교문화에서 신들을 대접하는 차원에서 술이 사용되어진 것처럼 사람에 대해서도 술은 중요한 음식물로서자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0세기 초 한국에서 자생한 강증산 종교문화에서 술은 신을 대접하는 중요한 음식물로서 자리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 종교문화에서 술이 제의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음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아울러 인간에 대해서도 음주는 개인이 지켜야만 될 도덕적 의미가 강조되며 일상적 생활과 같이 하며종교성을 갖고 인간생활에 가까이 닿아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유교문헌에 나타난 술의 역할과 의미
 Ⅲ. 강증산 전승에 나타난 술의 역할과 의미
 Ⅵ.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고남식 Ko, Nam-sik. 대진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