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고대사회에서 술의 기능

원문정보

Alcohol in Korean Ancient Society and Its Function

李道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Korean ancient society, alcohol involved political, religious, and social functions. First of all, alcohol couldn’t be missed in the society who worships the spirits. Alcohol was the catalyst for linking members during seed and harvest seasons’ rituals in agrarian society. In the feast, alcohol could tear down walls in mind. So, the feast played a role of not only just amusements but also relating people. For example, the feast place could be battlefield for celebrating victory, or became Pungryu if the leader enjoyed singing and dancing playing the geomungo in beautiful scenery. The feasts were means of victory, after party of games, and enjoyments, banquets were held along with drinking. In the latter case, it created the sense of unity between the king and lieges and heightened cohesiveness. Also it could liberated from political strains. Having a joyous feast with alcohol, some showed their daughters to the king and crown prince for selection. Alcohol worked as a catalyst for pouring out hearts. And in order to grasp the other’s character, they had a drink. When approaching with intentions, alcohol could tear down walls in mind. Alcohol often became a bribe for political reasons. For alluring political opponents or target people, alcohol was a very natural means. Moreover, they often made opponents drunk and killed as intended. In Korean ancient society, alcohol was religious material in terms of ritual necessity, used not only for socializing and enjoyment but also for political strategies.

한국어

한국 고대사회에서 술은 정치·종교·사회적 기능이 수반되었다. 우선 祭儀 공동체 속에서 술은 빠질 수 없었다. 농경 사회에서 播種과 收穫期의 祭天 儀禮 속에서 술은 구성원들을 묶어주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잔치에서의 술은 마음의 벽을 허무는 기능을 지녔다. 그랬기에 잔치는 단순히 遊戲 기능 뿐 아니라 인간 관계를 정립하고 풀어내는 역할을 했다. 가령 잔치의 장소가 전승 현장이면 勝戰宴이요, 풍광이 수려한 곳인데다가 주재자가 거문고를 뜯으며 歌舞를 先導하면 風流가 된다. 잔치는 勝戰이나 競技 뒷풀이 행사, 享樂의 수단으로서 飮酒가 붙는 饗宴이 이어졌다. 후자의 경우는 국왕과 신하간의 일체감을 조성하고 응집력을 촉발시켰다. 그리고 정치적 긴장 상황에서 해방시켜주는 기능도 했다. 술이 들어간 흥겨운 잔치 속에서 자신의 딸을 국왕과 태자에게 선을 보임으로써 간택받도록 하기도 했다. 胸襟을 털어 놓기 위한 촉매제로 술이 기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대방의 됨됨이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술을 나누기도 했다. 어떤 意圖를 지니고 접근할 때 양자간의 隔意를 허물어주는 수단이 술이었다. 정략적인 의도에서 술을 뇌물로 이용한 경우가 포착된다. 마음 먹은 대상이나 政敵을 유인하는 수단으로 술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소재였다. 더욱이 상대를 만취하게 한 다음 자신의 의도대로 살해하기도 했다. 한국 고대사회에서 술은 祭儀의 필수품이라는 종교적 素材인 동시에, 사교와 향락의 수단뿐 아니라 정치적 의도를 지니고 다방면에서 이용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 飮酒 認識과 관련하여
 Ⅱ. 祭儀 공동체에서의 술
 Ⅲ. 사회 속에서의 술
  1. 興을 돋우어 마음을 여는 기능
  2. 享樂 수단
  3. 소개의 方便
  4. 賂物
  5. 誘因이나 奇襲을 위한 媒介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李道學 이도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