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if educational belief and conflict types usually perceived through field training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varied.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the changes in educational belief after field training, the trainees had lower levels of conflicts in terms of teaching suitability, worth of teaching, and major-related conflicts. Second, as for the changes in the conflict level after field training, the trainees had higher levels of all the types of conflicts and conflicts with children in relations with the institution and in training practice, ha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burden due to conflicts with themselves and poor preparation for instruction, and scored higher for worth and expectation of teaching. The level of supervisor-trainee conflicts became lower in terms of providing materials to prepare for instruction after field training. In contrast, the trainees had higher levels of all the types of conflicts with children, had higher levels of controllability, an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ifficulty in controlling children and in maintaining balanced autonomy after field training. As for the relations with the institution, they had higher levels of all the types of conflicts with the institution, financial burden due to materials necessary to manufacture instructional tools and prepare for instruction, and conflicts due to unreasonable overtime work after field training, Third, as for assessment of training, the trainees had higher levels of conflicts due to anxiety from immaturity and poor self-confidence in instruction after field training; as for instructi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hey had higher levels of conflicts due to children's attention and concerns about sufficiency of time necessary to prepare for and plan instruction after field training. The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field training and plan, operate, and improve field training more efficientl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urriculum management, training plans, and pre-instruction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현장실습을 통해 평소에 지각한 교육신념과 갈등의 유형별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경기도에 소재한 K대학의 유아교육과와 아동보육과, 사회복지과의 보육복수전공 재학생 1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조사 영역 중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것은 현장실습전후 ‘교육신념’의 차이에 있어서, 실습생의 교직에 대한 적합도, 교직에 대한 보람, 전공에 대한 갈등의 3영역에 있어서 현장실습 전보다 후에 갈등 수준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갈등의 유형별 차이에 대한 실습전후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갈등수준이 높아졌는데 유아와의 갈등, 기관과의 관계, 실습생 업무에서 현장실습 전보다 후에 갈등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과의 갈등’과 수업준비 부족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이 높아졌다. 그러나 교직에 대한 보람과 기대의 갈등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평가’에 관련해서는 수업에 대한 미숙함과 자신감 부족으로 인한 불안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계획 및 시행’에 대해서는 유아의 주의집중, 수업준비와 계획에 필요한 시간의 충분성 여부의 염려의 갈등 수준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유보통합을 앞두고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운영과 실습계획, 사전지도를 위한 신념의 향상과 예비교사에 대한 갈등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예비교사의 역할과 전문성의 준비
2. 현장실습의 개념과 의의
3. 현장실습의 쟁점
4. 교육신념과 갈등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연구절차 및 자료의 처리
Ⅳ. 연구결과
1. 예비교사의 지각된 교육신념의 차이
2. 예비교사의 갈등 유형의 차이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