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간호학과 편입생의 학교생활 적응 유형 - Q 방법론적 접근 -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mong transfer nursing students and suggest the strategies for helping their adaptation according to the types. Q methodology was used such that thirty-seven Q statements were selected as the Q sample based on the literature, reported data and interviews and Q sorting was conducted by thirty-five transfer nursing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QMethod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our distinctive type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transfer nursing students were found such as Type I (Future Anxiety), Type II (Indifference), Type III (Harmony), and Type IV (Relations Directivity). Of these, the ‘Future Anxiety’ and ‘Harmony’ types showed a positive aspect in adaptation, whereas the ‘Indifference’ and ‘Relations Directivity’ types showed a negative aspect. Based on the findings, various strategies were discussed to assist transfer nursing students for their effective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their typ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편입생의 학교생활 적응 유형을 알아보고, 각 유형에 따라 간호학과편입생의 적응을 돕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관련된 선행연구와 보도자료 및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Q 진술문을 구성하였으며 최종 37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다. P 표본으로 선정된 간호학과 편입생 35명에게 Q 표본을 강제 분포시키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QMethod program에 의한 주성분 요인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학과 편입생의 학교생활 적응 유형은 ‘미래불안형’, ‘무관심형’, ‘융화형’, ‘관계지향형’의 4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이 중 ‘미래불안형’과 ‘융화형’은 적응에 있어 대체적으로 긍정적 양상을 보인 반면, ‘무관심형’과 ‘관계지향형’은 부정적인 양상을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각 유형에 따라 간호학과 편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표집 방법
3. 윤리적 고려
Ⅲ. 연구결과
1. Q 유형의 형성
2. 유형별 특징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