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re were various speculations about the study on the Bottom Book of Hwaeomseokgyeong -some 80 volumes, 60 volumes, 60 volumes+40 volumes, and 50 volumes. It became a common belief that the Bottom Book of Hwaeomseokgyeong is 60 volumes since 2000. Recently, however, the argument was raised that the Bottom Book of Hwaeomseokgyeong is 50 volumes. Thus, we looked at the literature mentioned about the volume of Hwaeomgyeong and looked into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50 volumes of Hwaeomgyeong. We consider about difference with the comparative Hwaeomseokgyeong, The Tripitaka Koreana and Cheonpyeongsagyeong.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I found evidence that Hwaeomseokgyeong is not 50 volumes. Hwaeomseokgyeong and Hwaeomgyeong of Bangsanseokgyeong are not volums of division. Only there are chapters of division. It is not important that the Bottom Book of Hwaeomseokgyeong is 50 volumes or 60 volumes. Important true is that the Hwaeomgyeong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in the eight centuries is in present.
한국어
「화엄석경」의 저본에 관하여 연구 초기에는 周本인 80권, 晋本인 60권본, 60권본+40권본 그리고 50권본에 관한 언급까지 추측이 분분했는데 2000년대 이후 석경의 저본이 진본인 60권본이라는 것이 통설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 「화엄석경」의 저본이 50권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佛馱跋陀羅 譯 진본 『화엄경』의 권수에 관해 언급된 문헌들을 살펴보고 50권본 『화엄경』에 관한 선행연구와 관련해 먼저 고찰해 보았다. 다음으로 「화엄석경」의 체재를 고려재조대장경본과 천평사경본과의 비교를 통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이 과정 속에서 「화엄석경」이 50권본이라는 견해가 있지만 「화엄석경」을 50권본이라 단정할 수 없는 근거들을 살펴보았다. 「화엄석경」은 「방산석경」의 진본 『화엄경』과 같이 권이 나누어져 있지 않고 품수제만 있다. 중요한 것은 「화엄석경」의 저본이 50권본인지 60권본인지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현존하는 유일한 8세기 통일신라의 진본 『화엄경』이라는 사실이며, 불타발타라 역의 진본 『화엄경』들 중의 하나인 ‘화엄석경본’이라는 것이다.
목차
1. 서론
2. 문헌으로 살펴본 진본 『화엄경』의 권수
3. 「화엄석경」 50권본인가?
4. 결론
<참고문헌>
[부록]
저자정보
참고문헌
- 1高楠順次郞. 『大正新修大藏經』 9. 일본: 大正一切經刊行會, 1925.
- 2新羅 石經 硏究네이버 원문 이동
- 3漢譯『華嚴經』의 補闕과50卷本의 韓半島 流通네이버 원문 이동
- 4김창호. “화엄사 화엄석경의 복원 방안.” 『화엄사․화엄석경』. 구례: 화엄사, 2002. 146-154.
- 5華嚴寺 <華嚴石經>의 書風과 造成時期earticle 원문 이동
- 6박상국. “화엄석경의 바람직한 복원 - 그 기본방향에 대하여 -.” 『화엄사․화엄석경』. 구례: 화엄사, 2002. 140-145.
- 7晋本 華嚴經 硏究earticle 원문 이동
- 8이승재. 『50권본 화엄경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9정병삼, 김봉렬, 소재구. 『화엄사』. 서울: 대원사, 2000.
- 10<華嚴石經>의 서사 체재 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11조미영. “신라 「華嚴石經」 연구.”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4.
- 12中觀 海眼 著/ 조용호 譯. 『화엄불국사사적』. 서울: 국학자료원, 1997.
- 13中國佛敎協會編. 『房山石經』 1. 중국: 華夏出版社, 2000.
- 14崔柄憲. “高麗時代 華嚴學의 變遷-均如派와 義天派의 對立을 中心으로.” 『韓國史硏究』 30(1980. 9). 61-76.
- 15韓國佛敎硏究院. 『華嚴寺』. 서울: 一志社, 1976.
- 16한상봉. “신라화엄석경의 서체와 금석학적 연구.” 『화엄사․화엄석경』. 구례: 화엄사, 2002. 163-199.
- 17화엄사. 『화엄사․화엄석경』. 구례: 화엄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