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刊本 『佛說觀無量壽佛經』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Amitayurdhyana Sutra published in Choson Dynasty

조선간본 『불세관무량수불경』 연구

송일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deals with an aspect of distribution of Amitayurdhyana Sutra, which translated into Chinese by Kālayaśas during 424-453 in ancient China. Also it deals with bibliographic characteristic of Amitayurdhyana Sutra including illustrations by comparing Choson edition (published in Choson Dynasty) with GyeongTae edition(published in Ming Dynasty). After Amitayurdhyana translated into Chinese, the illustration of the Sutra depicting the contents of sixteen methods of contemplation appeared at stone wall of Mogao Caves in Dunhuang and then it had come into wide disseminated in a form of manuscript. Thereafter, a wood block printing had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Song Dynasty (960-1127). Moreover, the historical evidence has been identified that illustration edition containing sixteen paintings of the paradise of Amitabha had been published at early Ming Dynasty by Sukdu temple edition-being lost to the history-published in Choson Dynasty. However, it is revealed that by using Ming Dynasty edition (published in 1451) as a original script, not only three types of edition had been published but also it had been published as various forms such as a movable type edition, annotated edition in Korean and so on in Choson Dynasty. Ming Dynasty edition printed in 1451 known as being lost to the history contains a part of illustrations as a picture material. As an examination result, it is determined that the illustrations in picture have high possibility identical edition with printed in 1451 by examining Sukdu temple edition.

한국어

이 글은 중국 남조의 유송 원가 연간에 강량야사(畺良耶舍)가 한역한 󰡔관무량수경󰡕을 대상으로 동아시아의 유포 양상을 살피고, 그 중 변상도가 수록된 명대 경태본과 조선본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본경이 한역된 이후로 16관법의 내용을 도상으로 표현한 변상도가 돈황의 막고굴의 석벽에 등장하였으며, 필사본 형태로 널리 보급되었다. 그 후 북송 때 중국에서 처음으로 목판본이 간행되었으며, 명대 초기 1451년(景泰 2, 1450-1457)에 16관경변상도가 수록된 삽도본이 간행되었던 사실이 조선의 석두사본에 의해 확인되고 있으나, 현재 실물자료는 남아 있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이 경태본을 저본으로 3종의 번각본이 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활자본과 언해본 등 다양한 형태로 간행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다만 현전본이 없는 경태본은 변상도 부분만 사진자료로 남아 있어 석두사본과 검토한 결과 경태본과 동일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목차

<초록>
 
 1. 緖言
 2. 觀無量壽經의 漢譯과 流通
  2.1 강량야사의 한역과 내용
  2.2 變相과 刊寫本의 유포
 3. 朝鮮本의 刊行과 流傳
  3.1 明板 飜刻本 系統
  3.2 後代 變容本 系統
 4. 黑田本과 石頭寺本의 比較
 5. 結言
 <참고문헌>
 [부록] 흑전본과 석두사본의 비교

저자정보

  • 송일기 Song, Il-Gie.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