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rovides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the Gyojang. Discoveries of publication records and establishing standards of the Gyojang, studies of the perception on buddhism and the reaction of buddhists toward it from the Shilla period, and classifing each Gyojang books through the examination and annotation of them are the conclusive goals of this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敎藏연구와 관련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교장관련 연구구조의 틀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형태서지적 특징인 장정이나, 지질, 권수, 서체 분석을 일차적 연구 단계로 설정하고 책의 판식과 관계되어 행․자수, 서명, 판심제, 저자 등을 검토할 때 의천의 목록에 포함된 것인지, 목록에서 서명의 표기가 달라진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 본 연구는 문헌 분석의 관점에서 유교 경전 주석의 시대별, 형식적 특징이 불교문헌에 미친 영향과 공통점, 차이점에 대해 역사적 관점에서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儒家 注釋의 著述과 역사
3. 儒家 注釋 文獻의 연구 방법
4. 敎藏 文獻의 연구 방법
5. 敎藏 文獻의 서지학적 연구 방법
6. 맺음말
<참고문헌>
1. 머리말
2. 儒家 注釋의 著述과 역사
3. 儒家 注釋 文獻의 연구 방법
4. 敎藏 文獻의 연구 방법
5. 敎藏 文獻의 서지학적 연구 방법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