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月沙 李廷龜의 冠服奏請 陳奏正使와 관련된 送別 기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Parting Records Related to Wolsa Yi Jung-gui’s Gwanbokjucheong Jinjujeongsa

월사 이정귀의 관복주청 진주정사와 관련된 송별 기록 연구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the records of farewell to Wolsa Yi Jung-gu (1564∼1635) when he left for his gwanbokjucheong jinjujeongsa by analyzing Royal Noble Consort Gong and chusung (giving the title of king or queen after the person’s death), Wolsa Yi Jung-gui’s diplomatic activities for the gwanbokjucheong, and the parting records related to the gwanbokjucheong jinjujeongsa. Gwanghaegun pursued the chusung plans for his birth mother Gongbin in the second year of his reign (1610). Gwanghaegun had different views from his servants on the issues of raising Gongbin of the Kim clan to the status of queen or queen consort, of taemyo and wonmyo in the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nd of the bumyo and crowning of the Royal Noble Consort Gong. The first jucheongsa on December 11 in the fifth year of Gwanghaegun’s reign (1613) succeeded in receiving gomyeong for Royal Noble Consort Gong from the Ming Dynasty. To receive the gwanbok (the official attire) needed for Royal Noble Consort Gong’s chusung, Gwanghaegun dispatched dongji and jinjusa Min Hyeong-nam and busa Heo Gyun to the Ming Dynasty on the second gwanbokjucheong on August 8 of the leap month in the seventh year of his reign (1615) ; they failed in their mission, however. For the third gwanbokjucheongsa on November 4 in the eighth year of Gwanghaegun’s reign (1616), the king selected Wolsa Yi Jung-gui while Yu Gan was the busa. The core content of the orders in Wolsa Yi Jung-gui’s diplomatic activities were the justifiability of receiving gomyeong and the gwanbok for the gwanbokjucheong, the instances in the 11th year of Seonghwa (1475) and the 17th year of Seonghwa (1481) during the Joseon era in which China’s Prince of Jing granted permission for chaekmyeong and the gwanbok, and a earnest request that Gwanghaegun be allowed to receive the gwanbok to pay utmost respects to his parent. Gwanbokjucheongsa Yi Jung-gui, busa Yu Gan and seojanggwan Jang Ja-ho were dispatched as envoys on November 4th in the eighth year of Gwanghaegun’s reign (1616) and returned to Hanseong on August 19 next year after receiving the gwanbok. Royal Noble Consort Gong’s gwanbok was placed in the taemyo on September 17. With this, Gwanghaegun completed the chusung for his mother, an undertaking which lasted seven years. Thirteen poems remain as the parting records related to the gwanbokjucheong jinjujeongsa ; they are written by Ki Yun-heon, Kim Sang-yong, Min Hyeong-nam, Bae Dae-yu, Yu Suk, Yu Yeok, Yi Gak, Yi Chun-won, Jeong Yeob, Jo Wi-han, Jo Jon-sae, Hong Myeong-hyeong and Hwang Ik-jun. The poems consist of one 20-stanza 40-line heptasyllabic poem, three pentasyllabic regulated verses, six heptasyllabic regulated verses, one pentasyllabic regulated verse combined with a heptasyllabic regulated verse, and two instances of a heptasyllabic regulated verse combined with a pentasyllabic regulated verse. All the rhyming characters are in the neutral tone with ji and gyeong being used three times each ; seon, mi and cheong used two times each ; and yang, han and eo used once each. Most of the poems speak of Wolsa Yi Jung-gui, selected by Gwanghaegun as the third jucheongsa to request the gwanbok for Royal Noble Consort Gong, as being peerless as a man of letters. They also compare his mission, his third journey in nineteen years, to China’s Zhang Qian’s search for the source of the Huang He. They also wish for Wolsa to do his best in receiving Royal Noble Consort Gong’s gwanbok since the king is doing his utmost for his parent and the fate of the Royal Court rests on the mission. Additionally, the sentiments expressed when parting with him include concerns about his health, disconsolation, sadness of parting and woeful emotions. This study will be used hereafter in the most basic studies of private records as well as in those of bibliography, record management, history and Korean language.

한국어

이 글은 현재 남아있는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 1564∼1635)의 관복주청 진주정사와 관련된 송별 기록을 대상으로 공성왕후와 추숭, 월사 이정귀의 관복주청을 위한 외교활동, 관복주청 진주정사와 관련된 송별 기록을 분석한 것이다. 광해군은 2년(1610) 생모인 공빈 김씨의 추숭을 위한 계획을 추진하였다. 공빈 김씨를 왕비나 왕후로 격상하는 것, 제례에 있어서 태묘(太廟)와 원묘(原廟)에 대한 것, 공성왕후의 부묘와 책봉문제에 있어서 신하들과 이견이 있었다. 공성왕후 추숭의 고명(誥命)과 관련하여, 제1차 주청사가 광해군 5년(1613) 12월 11일 명으로부터 공성왕후의 고명을 받는데 성공하였다. 공성왕후 추숭의 관복(冠服)과 관련하여, 광해군은 7년(1615) 윤8월 8일 제2차 관복을 주청하기 위해 동지 겸 진주사 민형남과 부사 허균을 명에 파견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광해군 8년(1616) 11월 4일 제3차 관복주청사에 월사 이정귀, 부사에 유간이 선발되었다. 월사 이정귀의 관복주청을 위한 외교활동에 있어서, 관복을 주청 받기 위해 고명과 관복을 함께 받아야 하는 당위성, 조선 성화 11년(1475)과 성화 17년(1481) 및 중국 형왕(荊王)에게 책명과 관복을 준허한 사례, 관복을 받아서 부모에게 지극한 예를 다하게 해달라는 간곡한 부탁 등을 주문의 핵심 내용으로 하였다. 광해군 8년(1616) 11월 4일 관복주청사 이정귀, 부사 유간, 서장관 장자호는 사신으로 파견되어 관복을 하사 받아, 이듬해 8월 19일 한성으로 돌아왔다. 9월 17일에 공성왕후의 관복을 태묘에 고하였다. 광해군은 이로써 7년여에 걸치는 생모 추숭 작업의 대장정을 마무리하였다. 관복주청 진주정사와 관련된 송별 기록은 기윤헌, 김상용, 민형남, 배대유, 유숙, 유역, 이각, 이춘원, 정엽, 조위한, 조존세, 홍명형, 황익중의 시 13편이 남아 있다. 시의 형식은 칠언시 20운 40행 1편, 오언율시 3편, 칠언율시 6편, 오언율시와 칠언율시가 병합된 것 1편, 칠언율시와 오언율시가 병합된 것 2편이다. 운자는 모두 평성의 지(支)자 3회, 경(庚)자 3회, 선(先)자 2회, 미(微)자 2회, 청(靑)자 2회, 양(陽)자 1회, 한(寒)자 1회, 어(魚)자 1회가 사용되었다. 시의 내용은 대부분 광해군이 공성왕후의 관복을 받기 위해 세 번째 주청사로 발탁된 월사 이정귀의 문장이 으뜸이고 19년간 세 번의 사행 길에 오르는 그의 임무는 황하의 근원을 찾아가는 중국의 장건에 비유하여 노래하였다. 임금은 어버이를 위해 온 정성을 쏟고 조정의 명운이 달린 일이니 공성왕후의 관복을 받는 데 최선을 다해 줄 것을 기원하였다. 또한 그를 떠나보내는 마음들의 표현은 건강의 염려, 적적함, 이별의 슬픔과 안타까운 심회를 기록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민간기록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 기록관리학, 역사학, 국어학계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1. 서론
 2. 공성왕후와 추숭
 3. 월사 이정귀의 관복주청을 위한 외교활동
 4. 관복주청(冠服奏請) 진주정사(陳奏正使)와 관련된 송별 기록의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 Ae.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응용인문학부 문헌정보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